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 하루 30분 3주면 된다!
김병완 지음 / 청림출판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정독과 다독, 무엇을 옳고 그르다고 논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많은 독서 그러니 우리가 생각하는 그 범위 이상의 책, 그러니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만 권이상 읽지 못할 것 같으면 정독이 답이라고 생각하며 책을 읽을 때는 밑줄까지 그어가며 읽곤 했다. 때로는 생각까지 메모하며 읽었다.

 

저자는 단언한다. 한 권의 책이 인생을 바꾼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한 사람의 생각에 노예가 되는 것이고 그 사람에게 조정당하는 일이라고. 반론은 아니지민 키에프 신화를 보면 주인공은 단 한 권의 책을 읽고 자신의 삶을 바꾼다. 영조도 정조에게 1만 권의 책을 읽는다 해도 그 뜻을 확실히 이해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했다. 이런것들에 연유해서 많은 사람들이 정독을 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많은 책을 읽지 못하는 답답함과 쉽게 늘지 않는 독서량은 책을 빨리 읽을 수 있는 방법을 갈구하게 된다. 그러던 중 만난 책이 “1 시간에 1 권 퀀텀독서법이다. 저자의 이력도 특이하지만 다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그의 열정에 퀀텀독서법을 익히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졌다.

 

직장을 그만두고 3년간 만권의 책을 읽었고 2년간 60권의 책을 쓴 저자 김병완, 그의 이력이 그저 놀랍기만하다. 퀀텀독서법은 그가 5천 권을 읽는 기점으로 지식이 아닌 지혜를 터득하고 있는 자신을 돌아보며 다독의 절대적 중요성과 다독을 위한 독서법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연구한 독서법이다.

 

퀀텀독서법에 대한 설득이 가장 선결되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저자도 이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 책의 대부분을 독서혁명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우리가 그간 해왔던 독서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다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너무가 잘 알고 있는 다독가들을 나열한다. 특히 재미있었던 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인류의 천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구텐베르크가 만든 금속인쇄술로 다량의 책이 제작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덕분에 다빈치는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된 책을 읽을 수 있었고 그 덕에 인류의 천재가 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조괄의 예를 들어 생각과 의식은 그대로인 채 책만 많이 읽는 도농독을 우리가 경계해야 할 독서라고 이야기 한다. 즉 독서로 책의 노예가 아닌 책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고 응용하고 활용하고 변형하고 개선하고 보충하고 반론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글자만 읽고 사고하지 않는 독서를 경계하며 퀀텀독서법이 책만 빨리 읽는 독서법이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다독이 불가능한 이유의 대부분이 속발음때문이며 이는 글자를 배우는 과정에서 생긴 글자 하나하나를 읽는 습관에서 생긴것인데 책은 글자를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뇌로 읽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당장 실천하고 싶어 속발음을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평생 길들여진 습관이 하루아침에 바뀔 수는 없는 모양이다. 그러나 저자가 제시한 방법들을 순차적으로 따라한다면 우리 역시 만 권 아닌 2만 권을 읽는 독서천재가 되지 않을까. 뇌를 전부 사용해서 책을 읽는 퀀텀독법이라면 가능하다. 일본이나 선진국에는 독서천재들이 널려있다지 않은가.

 

저자가 제시한 방법에 충실한다면 저자가 사명으로 삼는 우리나라 독서 천재나라로 만들기가 실현되지않을까.

 

곱씹어 읽는 독서의 묘미도 좋지만 파스칼의 말 너무 빨리 읽어도 너무 늦게 읽어도 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를 받아들이고 저자가 제시하는 1시간에 1권 읽기가 가능해진다면 퀀텀 독서법도 가능하리라.

 

마지막으로 독서관 빌 게이츠를 말로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를 정리해본다.

 

내가 가장 원하는 능력은 책을 아주 빨리 읽는 능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