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가 미친 단 하나의 문제, 골드바흐의 추측 (양장) - 최고의 수학 난제가 남긴 최고의 수학소설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지음, 정회성 옮김 / 풀빛 / 2017년 1월
평점 :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가 쓴 “Uncle Petros and Goldbach’Conjecture”는 이번으로 두 번째 출판되었다. 한 번은“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로” 생각나무에서 또 한 번은 “그가 미친 단 하나의 문제, 골드바흐의 추측”으로 풀빛출판사에서 출간했다. 제목만으로 놓고 본다면 하나는 천재 수학자 페트로스를 보는 사람들의 관점으로, 하나는 수학자 페트로스를 중심으로 보게 하는 것 같다. 역자가 같아 목차를 제외하고는 번역이 달라진 부분은 눈에 띄지 않는 것 같다. 다만 구성에 있어 먼저 출파된 책에 수학자를 통해 본 수학사가 부록이 있다는 것이 다르다면 다르다.
“그가 미친 단 하나의 문제, 골드바흐의 추측”은 학교에서 배웠던 수학과는 사뭇 다른 수학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골드바흐의 추측,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라그랑주의 정리 등 무수한 정리들이 나오고 수학용어 또한 만만찮게 나온다. 한 번 정도 들어보았거나 난생 처음 듣는 수학자 이름들도 무수히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해 이 책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독자에 따라 이들을 무시하고 넘기는 것은 이 책을 제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은 수학책이 아니고 소설책이다. 이 책에 나오는 골드바흐의 추측을 이해하고 관련된 것들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하는 것은 페트로스 삼촌이 고등학생인 그의 조카 ‘나’에게 ‘골드바흐의 추측’을 풀라고 하는 것과 똑 같은 일이다. 이 책이 주고자 하는 메시지에 관심을 더 갖는 것이 적절하다.
페트로스가 도전한 ‘골드바흐의 추측’과 같은 수학 난제들에 도전하는 것이 페트로스의 동생이자 서술자 ‘나’의 아버지 말처럼 돼지 앞에서 진주를 내버린 꼴인지 생각해 봐야한다. 신이 주신 천부적인 수학 재능을 풀 수 없는 난제에 쓰는 것이 무용한 일인지 이야기해 봐야한다.
‘인생의 비결은 항상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세우는 데 있는 것이야’라는 아버지의 말은 오늘날 우리 부모의 말과 100% 싱크로율을 자랑하고 있다. 먹고 사는 문제에 내몰리고 있는 우리 젊은 세대는 꿈을 내려두고 생계 현장에 얽매이고 있다. 아버지의 말처럼 개인의 재능을 이룰 수있는데에만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이룰 수 있는 목표만 세우면서 살아가야 하는 것인지 곱씹어 봐야 하지만 마음 속에 강한 거부감이 인다. 이는 삼촌 페트로스의 속임수로 알고 절규하는 ‘나’와 그의 친구 ‘새미’의 비난에서 알 수 있듯이 반드시 그래야만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는 형제들에게 외면당하고 무시당하는 수학천재 페트로스 삼촌을 찾아와 ‘골드바흐의 추측’에 빠졌던 삼촌처럼 수학에 빠져보고 싶다고 말한다. 페트로스는 나에게 다른 분야는 자기일에 성취감을 그럭저럭 느끼며 살 수 있지만 수학자는 최고가 아니면 비극의 길이라고 말한다. 나는 자신은 최고가 될것이라고 하지만 페트로스는 의지만 갖고는 되는 것이 아니라며 나가 실패와 불행의 길을 걷지 않기를 바란다면 나가 재능이 있는지 판단해 주겠다며 ‘골드바흐의 추측’을 문제로 내준다. 나는 그것이 수학 난제중 난제였던 골드바흐 추측인줄 전혀 짐작하지 못하고 자신의 모든 의지와 열정을 태워 도전하지만 결국 실패한다. 더 이상 수학에는 관심도 갖지 말아야 한다는 삼촌과의 약속을 지킬 수 밖에 없게 된다. 페트로스는 아예 조카의 도전을 처음부터 잘라 버린다. 페트로스 삼촌은 아마 조카가 자신을 닮은 삶을 사는 것을 원치 않았다. 수학에 재능이 없다는 말을 듣고 절망하고 수학을 포기한채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친구인 세미에게 고등학교 여름방학내내 자신이 시름했던 문제가 ‘골드바흐의 추측’이었다는 것을 알고 삼촌을 향한 분노와 절규에 휩싸인다. 나는 삼촌이 자신의 인생을 망쳐놓았다고 생각한다. 새미 역시 분노하며 외친다.
‘대체 무슨 권리로?’
‘모든 인간은 스스로 택한 절망적인 상황에 절망할 권리가 있는 거야’
나는 삼촌에게 삼촌이 젊었을 때 리틀 우드와 공동의 리만의 제타 함수에 관한 발표를 한 것 외에 다는 특별한 연구업적을 찾을 수 없다며 ‘에너지 소진 이론’을 언급하며 페트로스가 ‘골들바흐의 추측’에 매달린 것은 자신의 게으름을 변명하기 위해 꾸면 것이라며 질타를 한다. 이에 페트로스는
‘인생에 있어서 성공이란 스스로 정한 목표에 의해 평가되어야 하는 거야’
라고 말한다.
애증에서 삼촌을 존경하고 사랑했던 나는 테라스 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페트로스 파파크리스토스의 시체에서 나는 절대적 만족감에서 우러나온 듯한 미소가 그 얼굴에 그려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죽은 페트로스 주변에는 나가 구해왔던 리마콩이 펼쳐져 있었다. 나는 공식적으로 페트로스가 ‘골드바흐의 추측’을 증명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고 답하지만 그것은 개인적인 견해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마지막 페이지에 이르면 독자는 그가 평생 미쳐 있었던 단 하나의 문제, ‘골드바흐의 추측’을 증명해냈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지만 그것은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닌 듯 하다. 페트로스의 말처럼
'인생에 있어서 성공이란 스스로 정한 목표에 의해 평가되어야 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선택한 도전에 의해 절망할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