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가 내 부엌으로 걸어 들어왔다 1 하루키가 내 부엌으로 걸어 들어왔다 1
부엌에서 무라카미 하루키를 읽는 모임 지음, 김난주 옮김 / 작가정신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부엌에서 무라카미 하루키를 읽는 모임’, 지은이가 참 특별하다. 하루키가 내 부엌으로 걸어 들어왔다를 지은 이 모임은 하루키를 읽고 그와 그의 이야기에 담겨 있는 음식에 매료된 이들이 모인 모임이다.

 

작가가 소설의 소재로 선택한 (이 책에서는 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우리 정서에 썩 어울리는 표현은 아닌 듯 싶다.)’에 대해 그러니 음식과 요리에 대해 애정을 갖는 모임까지 있다니 참 흥미롭다. 다른 독자도 이 책을 보고 그들이 좋아하는 작가의 독특한 소재를 연구하는 모임을 가져보고 싶다는 욕구가 생길지도 일이다. 어째든 작가는 행복하지 않을까.

 

이 책은 하루키 소설에 등장한 요리와 의미 있는 일본 음식과 음식점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가지 수와 다양한 요리법에 놀라게 되는데, 하루키가 작가가 되기 전 식당 주방에서 일했다는 사실을 알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책은 먼저 하루키의 소설에서 음식이 등장하는 구절을 그대로 옮겨 놓는다. 그리고 그 요리법과 실사사진을 함께 실었다. 요리법은 무척 간단해 황당할 정도다. 맛이 있을까 싶을 정도다. 완두콩밥과 로스트비프 같은 다소 복잡하고 여러 과정을 필요로 하는 요리도 소개하고 있지만. 요리 과정 샷이 생략된 아쉬움이 있지만 등장인물들과 요리 과정을 상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하루키와 대화를 나누듯 요리를 한다면 즐겁게 식탁에 내가 한 하루키의 음식을 올릴 수 있을 것 같다.

 

담긴 요리를 대부분울 해보고 싶지만 코카콜라와 핫케익 요리는 망설여 진다. 저자의 말처럼 기상천외하고 충격적인 요리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이기에 선뜻 부엌에 서고 싶지 않다. 핫케잌과 우유의 이상적 조합을 파괴하는 이 요리의 맛이 정말 궁금함에도. 쥐는 먹을 것과 마실 것이 일체화 되어 좋다고 했는데..... 과연.....

 

발체한 한 구절들을 읽는 것은 극도로 집중할 수 있는 매력을 부여한다. 그 문장들을 각인시키고 애정을 갖게 한다. 그와 동시에 읽었던 읽지 않았던 그 소설을 찾게 한다. 4 제이스바, 또는 술 안주머릿글에서 맥주가 마시고 싶어진다. 무라카미의 작품을 읽다 보면 그런 부작용이 생긴다. “책을 내던지고 술집에 맥주를 사러 갔다는 독자들이 무척 많단다.고 하고 있다.

 

난 그들과는 반대로 하루키가 부엌으로 걸어 들어왔다를 읽으면서 이 책을 던져버리고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찾아 달려가고 싶었다. 요리하는 그들이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이책을 읽으면 발췌 탓인지 음식탓인지 등장인물들의 심리에 동화되는 듯한 느낌을 줄곧 받는다. 분명 이 책은 요리책이지만 내게 하루키의 또다른 소설로 읽혀진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나 싶다.

 

소설 속 음식이 책으로 시각화 됐다. 하루키의 독특한 레시피가 담겨 있다. 가끔 하루키를 부엌으로 불러 들려 그와 같이 요리를 해보고 싶다. 하루키 소설 옆에 나란이 꽂아 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