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국의 글쓰기 - 남과 다른 글은 어떻게 쓰는가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먼저 써라. 그리고 고쳐라

 

 

누구나 글을 잘 쓰고 싶어 한다. 잘 쓰고 싶다는 마음에 글쓰기 비법을 찾아 이곳저곳을 유랑한다. 글쓰기 책 한두 권은 책꽂이에 꽂아두고 있다. 글을 잘 써보겠다는 열망과 다르게 글쓰기 강좌나 글쓰기를 안내하는 책에서 자신이 원하는 비법을 찾기는 힘들다. 다 거기서 거기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을지 모르겠다. 대통령의 글쓰기로 베스트작가 반열에 오른 강원국의 글쓰기는 좀 다르다.

 

‘강원국의 글쓰기’가 말하는 글쓰기 비법은

“잘 쓴 글은 없다, 다만 잘 고친 글만 있을 뿐이다.”

 

고민하지 말고 먼저 쓰라는 것이다. 처음부터 힘주지 말라고 한다. 쓰고 고치면 된다고 한다. 대개의 경우 첫 문장을 쓰지 못해 끙끙거린다. 첫 문장이 가지는 무게를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첫 문장을 찾아 헤매지 말고 쓰다보면 생각이 떠오르고 떠오른 생각이 또 다른 생각을 물고 오고 그러다보면 다시 글을 고쳐 쓸 수 있게 된다고 한다. 글을 써본 사람이라면 이 말에 쉽게 동의 하게 된다.

 

‘강원국의 글쓰기’에는 저자의 경험담이 매우 솔직하게 담겨있다. 글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 겪은 다양한 경험담을 가감하지 않고 옮겨 놓았다. 글 쓰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고 못 쓸 것도 아니다. 먼저 써라. 그리고 고쳐라. 다소 지루하다 느낄 정도로 자신의 경험과 자신의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활용하여 세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이유는 자신의 말을 믿고 먼저 써보는 도전을 하라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저자가 국민의 정부 행정관이었을 때 자신의 상태를 고백한 부분을 옮겨본다.

 

그 당시 나의 상태를 사자성어로 표현하면 이랬다. 글을 잘 쓰겠다는 마음으로 노심초사하다가, 아는 것 하나만 써야 하는데 알고 있는 다른 무엇까지 붙이려다 보니 횡설수설 꼬이고, 주제와 상관없는 멋진 표현이 생각나 억지로 넣다 보니 자중지란에 빠지며, 잘못 쓴 문장 하나 지우면 될 것을 살려보려고 안간힘을 쓰다가 일파만파 번지고, 찾아놓은 자료가 아까워 이곳저곳 쑤셔 넣다 보니 중언부언하게 되고, 쓰는 도중에 말이 안 된다는 걸 알았지만 어떻게든 꿰맞추려다 보니 점입가경에 이르러, 감동적인 마무리를 하려다가 설상가상으로 끝이 났다.

 

저자는 글 쓸 때 범할 수 있는 실수를 자신의 경험으로 함축하여 알려주고 있다. 글을 써보려고 해본 사람은 그의 경험담에 공감할 수밖에 없다. 위에서 나열한 점만이라도 고칠 수 있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이 밖에도 저자는 글을 잘 쓸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과 팁을 주고 있다. 글을 쓰는 사람으로써 가져야 하는 마음의 자세에서부터 글을 쓰기 위한 문법과 어휘 수집, 자료 수집 방법과 글을 구성하는 방법 등을 자세히 전하고 있다. 그 중 인상적이었던 것은 글을 쓰기 위한 자신만의 환경을 만들라는 점이다. 글 쓰는 환경에 대한 설득도 저자가 시종일관 글은 자신의 주장에 대해 적적할 근거와 예를 통해 설득력을 가진단고 한 것처럼 다양한 자료들을 제시하여 설득하고 있다. 이 책에서 우리가 유념해 볼 한 가지는 저자가 글을 잘 쓰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저자 자신의 원칙에 따라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말을 잘 하려면 말을 많이 해봐야 하고 글을 잘 쓰려면 글을 많이 써봐야 한다. 저자는 결코 글을 쓰는 것이 쉽고 재미있고 말하지 않는다. 글을 쓰는 것은 고통의 과정이며 어려운 일이라고 말한다. 단지 글을 쓰는 것을 즐길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그 과정을 좀 더 즐거운 과정으로 가져가는 것은 독자들 몫이라고 한다.

 

글을 써보지 않았지만 남과 다른 나만의 글을 써보고 싶다는 그 첫 번째로 읽어보라. 그리고 저자의 말처럼 자신만의 꿈을 가져보라. 저자는 소설이나 시를 쓰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됐다고 한다. 목표를 가지고 글을 쓴다면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말한다.

 

잘 쓴 글은 없다, 다만 잘 고친 글만 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