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이강산 큰 스푼
신현수 지음, 이준선 그림 / 스푼북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무상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후기입니다.)



내 이름은 이강산



#스푼북 #내이름은이강산



일본에 여행도 가고 일본 물건을 쓰고 일본 연예인을 좋아하다가도 이런 역사적인 이야기를 한 번 더 알게 되고 다시 보게 되면 화가 나는 어쩔 수 없나 봐요.


어릴 때 일본어를 하실 수 있는 할머니가 있었고 그 집에 가면 일본어 관련 책도 있었는데, 옛날에 어떻게 일본어를 했을까? 하는 그런 생각을 했었던 적이 있어요.


그런데 학교에 들어가고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를 알고 나서부터는 그때 당시 살았던 분이셔서 그런 영향이 있었구나 생각이 들더라고요.


현재는 오래전 역사 이야기로  책 속에서만 읽을 수 있는 내용이지만, 접할 때마다 참 마음이 그렇더라고요.


이번에는 오랜만에 이런 관련 도서를 아이와 함께 읽었던 적이 있어요.


아이가 6.25이야기 도서도 읽고는 마음이 아프다면서 몇 번이나 읽었는데, 이번 도서 역시 몇 번이나 읽더니


창씨개명이라는 것도 알게 되고 그 때문에 학교도 못 가고 그러한 역사적 이야기를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학교에서도 일본어를 배웠어야 했고, 이름까지 일본어로 바꿔야 했는데요


하지만 이를 반대하는 이들도 당연히 있었답니다.


그중 주인공인 이강산의 할아버지도 였는데요.


조상님들 뵈기 죄송스럽다. 왜 일본어로 이름을 바꾸냐 하는 마음으로 절대 바꾸지 않다가 결국엔 이야기가 끝나갈 때쯤 바꾸긴 했으나, 일본어 이름 그 속에 그대로 이강산이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었죠.


겉으로 바꾸기는 했으나 속은 여전히 한국을 아끼고 사랑하는 그러한 국민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나라가 있는 게 아닌가 싶어요.


책을 읽으면서 중간쯤 이름을 바꾸지 않는다면 정신대에 끌려간다는 내용도 살짝 언급이 되는데


손자, 손녀가 강제로 잡혀간다는 데도 고집을 꺾지 않는 걸 보고는 순간적으로 아니 살아있는 자식들이 더 중요한대 너무 한거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었지만,


해방이 되고 나서 이러한 마음을 힘들어도 끝까지 지켰다면 얼마나 자랑스러울까 생각도 들었답니다.




아픈 역사 속 이야기


당연히 알아야 하는 이야기지만, 읽을 때마다 마음이 아픈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