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찾은 미디어 리터러시 이야기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2
홍미선 지음, 차차 그림 / 리틀씨앤톡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에서 찾은 미디어 리터러시 이야기


#리틀씨앤톡 에서 나온 #인터넷에서찾은미디어리터러시 입니다.


리틀씨앤톡 ~에서 찾은 ~이야기 시리즈를 참 즐겨 하는데요.


사회에서 일어나고 역사이여기 등 누구나 알아도 좋은 그러한 이야기들을 카테고리에 맞게 모으고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이야기를 요약한 책이라서 아이에게 추천을 많이 하는 도서 중 한 가지입니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적 이야기만 나누는 게 아니라, 가상의 인물들이 나와서 가상의 이야기 속에서 사실들이 나오기에 아이들이 지루해하지 않아서 더 좋은 것 같아요.


그래서 사회적, 역사적 이야기지만, 전혀 지루하지가 않답니다.



아무튼 이번 이야기는 바로 인터넷, 미디어 이야기입니다.


리터러시란 말은 저도 자주 쓰지 않기에 잘 몰랐는데,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문해력, 무언가 읽고 해석하는 것을 이야기하는 데요.


인터넷에는 1부터 100까지 정말 다양한 이슈나 있고


그리고 1을 조금만 바꾼 1.5 같은 이야기들도 수두룩하기에 뭐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과장은 있는지,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곧이곧대로 믿다가는 안된다는 말이죠.


정보화 시대가 발달하면서 미디어의 도움을 물론 많이 받지만, 미디어로 인해 피해를 보기도 하기에 리터러시가 필요한 거죠!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문해력이 하고 보면 됩니다.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뉴스를 제대로 파악하기, 과장광고, 게임, 알고리즘, AI, 인터넷에서 지켜야 하는 예절이 나옵니다,


내용을 보면 한 번쯤 아이에게도 이걸 믿냐, 가짜야~이거 이 정도로 안되는 거 같은데~


게임 많이 하지 마, 한 가지만 본다고 해놓고 뭘 또 보냐 등등 핸드폰을 들고 있으면 아이에게 꼭 했던 말들인 것 같아요.


아직 아이들은 어리기에 판단력도 미숙하기에 자신이 느끼는 감정, 재미를 그대로만 보기 때문인 것 같아요.


가끔 저도 유혹하는 뉴스 기사를 클릭해서 보면 그 제목과는 영 다른 내용 혹은 그 내용만큼의 이야기가 아닌, 혹은 이상한데 싶어서 더 검색해 보면 같은 내용으로 나오지 않는 기사 등이 많은데요


이게 바로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거죠,


마지막에는 예절에 대해서도 나오는데요


마지막 이야기로 딱 좋은 것 같았어요.



 


이처럼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듯한 이야기를 잘 정리해서 보여주니


좋은 것 같았어요/.


이제 점점 핸드폰이나 인터넷을 더하면 더했지. 줄어들지는 않을 텐데


잘 알아서 잘 활용하면서 보면 좋을 것 같아요.



(본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무상 제공받아 직접 읽어보고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