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갱스터/린치핀>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이코노믹 갱스터 - 세계 경제를 주무르는 경제파괴자
레이먼드 피스먼 & 에드워드 미구엘 지음, 이순희 옮김 / 비즈니스맵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세계경제는 상승 추세선을 따라 확장하고 있다. 그것이 최근 과거에 눈부신 발전에 비해서는 조금 더뎌진 것처럼 보이지만, 삐걱거리면서도 조금씩 세계 경제는 커지고 있다. 하지만 세계가 커진다고 세계의 모든 나라가 모두 경제적으로 부유해지는 것일까? ‘그건 아니야’ 라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왜? 왜? 왜? 이 세계는 강자와 약자 혹은 부자와 가난한자로 나눠져야 할까?’ ‘그냥 다 같이 잘살면 안 되는 걸까?’ ‘아니 정말 밥 한 끼 사먹을 돈 없어서 굶어 죽는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생계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는 없는 것일까?’이런 생각은 누구나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왜 이렇게 경제적 불평등이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물으면 그에 대한 답을 쉽사리 내리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여기! 두 학자 레이먼드 피스먼과 에드워드 미구엘은 세계 경제를 주무르고 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폭력배 ‘이코노믹 갱스터’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코노믹 갱스터’ 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경제 폭력단이나 하지만 그들은 기존 깡패들과 같이 물리적 힘으로만 밀어붙이는 것이 아닌, 권력, 인맥, 돈의 힘을 이용하여 경제를 휘두른다.

 ‘이코노믹 갱스터’는 나에게 막연해 보였던 세계 여러 나라의 부패상에 대해서 그리고, 그 부패가 지속되고 있고, 그 부패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모습들에 대해서 여러 통계 자료들과 보여준다. 경영학도이긴 하나, 경제학에 관심이 많기에 세계 경제의 흐름에 대해서 공부했는데, 알고 있는 이론이긴 하였으나 전혀 알지도 못했던 새로운 사례들과 만나니 어쩐지 낯설면서도 ‘아~이런 거구나’하는 느낌이 왔다. 한 가지 인상 깊었던 사례가 있는데 바로 ‘남미 콜롬비아 보고타’의 부패 척결 사례다. 남미하면, 대표적인 부패국가에 이미지가 떠오른다. 요즘은 그나마도 조금 나아진 편이지만, 과거에는 남미 쪽 여행을 가면 위험지역에서 관광객들이 강도당하고 죽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남미에 있는 콜롬비아 보고타 지방에서의 부패와 폭력을 없애려는 노력이 획기적이고 대단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지난 6월 콜롬비아 대선 후보이자 학자 인 ‘안타나스 모쿠스’ 이다. 기존에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통제 수단을 어릿광대를 이용한 감성, 문화 규제를 통하여 인간을 공포로 규제 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과 마음을 교화시키는 감성 마케팅(?) 이라고 해야 할까? 하여튼 과연 그것이 먹혀들까 하는 방법들을 작동하게 만든 모습을 보고 그에 행동력이 멋졌다. 이상적인 것은 현실에 부딪치기 마련인데, 그 이상적인 방법을 현실에서 실현한 그의 계획과 실행력은 가히 칭찬받아야할 만한 일이다.

 약간 이야기가 어긋났는데, ‘이코노믹 갱스터’는 경제 분야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치적 권력 또한 ‘이코노믹 갱스터’와 함께 한다. 그리고 정치와 경제에 힘이 합쳐져 무지막지한 ‘이코노믹 갱스터’가 만들어 진다. 그들을 제재할 규제를 만들려고 해도 그 법을 제정하고자 할 때, 힘 있는 ‘이코노믹 갱스터’는 그것을 방해한다. 그렇기에 ‘이코노믹 갱스터’에 대항하기란 힘들다. 이를 위해서는 범세계적이고 힘에 굴복하지 않을 비정부조직이 필요한데 그를 위한 노력이 현재 계속 되고 있다고 한다.

 힘을 이미 갖고 있는 상태에서 그 힘을 뺏기지 않고 향유하려고 하는 ‘이코노믹 갱스터’의 욕망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타인에게 혹은 세계에 피해를 입히는 것이라면 그에 대한 자기규제는 꼭 필요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