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노 공부법 - 한 문제를 이해하면 백 문제가 ‘와르르’ 풀리는 가장 단순한 공부 원리
권종철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때 공부습관을 형서하는 시기라면 고등학교는 적용하는 시기라고 보통들 이야기한다.

중학교때 바른 공부습관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좋은 성적을 거두는 일은 가능하기도 하다.

선생과 반복적으로  문제를 풀다보면 말이다.

하지만 고등학교에서는 공부의 깊이가 깊어 바르게 습관이 잡히지 않는 아이들은 좌절하고 말 것이다.

좋은 성적이 나오지 않는것은 비효율적으로 공부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 저자는 이야기 하는데,


주어진 지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이해력과 이해한 내용을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는 응용력이 필요하다.

학원을 다니면서 수학공부를 해도 이 문제와 저문제가 결국 같은 문제라는 것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하지 않고

문제를 풀기 때문이라고 따끔하끔하게 지적하는데 문제를 많이 풀면 푸는 능력이 생겨난다고 착각하기 때문인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집중력이 떨어지면 아무리 오래 공부해도 소용이 없다.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뭔가라도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불안한 마음에 책이라도 잡고 있는경우가 많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 봅니다.


공들여 쌓은 도미도를 정확하게 쓰러뜨리는

도미노 공부법이 추구하는 효과적인 깊은 공부의 방법이라 말하고 있다.


특히나 제일 와 닿은 방법이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습관은 무시할 수 없다. 좋은 습관이든 나쁜 습관이든

적절한 시기에 짧고 강하게 짧게는 2주 길게는 한달의 시간동안 의지력을 발휘 한다면

습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독해력은 선척적 능력 보다는 후천적 부분이 크게 작용하는데 어렸을때 폭넓은 독서 경험을 가진

학생은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독서의 경험 그자체 만으로 독해력 이라는

역량이 키워진 것이다.



 

독해력과 수학적 사고 능력


개념을 이해하고 생각의 흐름을 이해 해야 한다.

개념과 공식들을 특정한 유형의 문제에 적용하여 해답을 찾으려면

개념과 공식으로부터 문제의 해결까지 이어지는 생각의 흐름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

아무리 많은 시간을 수학에 쏟는다 해도 얕은 공부는 일정한 수준의 수학실력을

넘어설 수 없을 것이다.

 

틀린문제는 깊은 공부의 출발점이라 말한다.

틀린 문제는 약점을  발견하게 해주어 올바른 해법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학창시절 친구들과 노는 것보다 학교공부를 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어쨋든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었는데 성적은 그리 신통치 않아서 주변에서는

참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 왜 시험은 맨날 잘 못보는거냐 핀잔을 주기도 했었다.

학원한번 안다니고 집에서 혼자 공부하려니 공부하는 요령을 몰라

지금 생각해보면 주구장창 외우기만 했던 것이 원인이 아니였을까란 생각이 든다.

우리 아이들한테는 공부를 잘하는 것도 좋지만 힘들이지 않고 요령있게

공부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다.

가뜩이나 할 것도 많은 아이들인데 매일 공부만 하고 얽메이게 할 수 없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