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쟁점 한국사 : 근대편 쟁점 한국사
이기훈 외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적 이슈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뉴스를 드라마처럼보고 주말마다 광화문 가기 바쁘다. 그래서 책을 더욱더 읽지 않게 되지만 정치적 이슈를 듣지 않고 한마디 하고 싶다면 읽어 보기 좋은 책이다. 특히 소녀상문제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대해 언급하고 싶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를 읽다> - 양자오 -유유

 

어떻게 읽을 것인가?

<노자>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고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논어로 예를 들자면 <논어>를 볼 것인가 아니면 <논어 집주>를 볼 것인가의 문제다.

고전이란 오래전부터 내려오던 책이라 해석들이 두텁게 덧쌓여 있다. 우리는 그 덧쌓인 해석을 공부할 것인지 그 해석들을 벗겨내고 순수한 맨 처음 원문을 볼 것인지 먼저 결정해야 한다.

<논어 집주>로 논어 공부를 시작해서 노자를 볼 때도 <노자 왕필주>를 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원전과의 시간 격차로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을 중간 세대 누군가의 해석이 있다면 조금 쉬우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저자 양자오는 고전은 오늘날 우리 시대를 위해 쓰인 것이 아님을 유념하라고 한다. 고전이 태어났던 전혀 다른 시공간의 차이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이 시대로 끌고 와서 현재에 유용하며 적용되는가를 따지려 한다면 이는 고전 자체에서 멀어지는 해석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이렇게 동양고전 읽는 법부터 알려주며 시작한다.

 

노장 사상인가?

노장 사상이라는 말로 우리는 노자와 장자를 비슷한 사상가로 묶어둔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노장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가 시대 변천, 불교의 유입 등 세태에 따라 이름 지어진 것이라 설명한다.

 

전국시대 말기 장자의 제자들에게 장자와 노자는 같은 유파가 아니었습니다. (p40)

이렇게 단정하며 노자는 오히려 당시에 ‘황로(황제와 노자)’라는 이름으로 무위를 중시하고 백성과 함께 휴식한다는 사상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또한 권력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장자와 노자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또한 장자에게 권력과 그것이 가져다주는 지위는 한 인간의 자유롭고 활력 넘치는 생명력을 질식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권력과 지위로 인해 인간은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여 자신의 본성에 위배되는 굴레 속에서 자기 자신을 얽어맨다고 보았던 것입니다.(p33)

노자는 권력을 차지하고 오래도록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도를 이해했습니다. 즉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듯, 권력에 무관심한 듯해야 한다는 말입니다.(p35)

 

이 설명을 보면 노자는 오히려 노장 사상이라기보다 제왕학과 가깝다고 느껴진다.

 

노자는 누구인가?

노자가 누구인가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사람이 있을까? 우리가 가장 많이 근거로 삼고 있는 사마천의 「사기」에서조차 노자로 추측되는 세 사람이 등장하니 말이다. 노자라는 인물은 일단 차치하고 고대 문헌의 하나로 노자가 남긴 글만을 볼 것인지 고증학적으로 따지고 들어 노자를 찾아낼 것인지는 <노자>를 연구하는 모든 학자들의 숙제이다. 유가는 자신들의 사상을 명확한 기록으로 남겨두었지만 도가는 그런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기록을 남기지 않는 은자 문화가 도가의 먼 원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노자가 누구인가를 밝히는 것이 무의미해진다는 생각이 든다.

 

도덕경은 없다

책의 내용 반이 고전, 시대, 저자 등 노자가 쓴 책의 주변 이야기들이다. 이제 책으로 들어가야 한다. 5,000자 모두를 다루지는 못하고 몇 문장만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상한 점은 이 책 어디에도 도덕경이라는 말은 없다. 노자가 쓴 책은 도덕경이라는 것이 뇌리에 있던 사람으로서 의아했다. 도를 말한 도경과 덕에 대해 말한 덕경에 대한 언급은 왜 없을 까? 후대에 마왕퇴 「백서노자」에서 도경과 덕경의 순서가 다르게 나왔기에 도덕경이라 부르는 것을 꺼린 것인지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저자는 한결 같이 후세에 의미 부여된 여러 가지를 부정해 오고 있었으므로 노자가 쓴 글 「노자」로 책이름을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31장을 자세히 보기를 권장한다. 전쟁에 대한 노자의 견해가 직접적이고 강렬하게 나타나 있다. 전국 시대의 산물인 「노자」를 이해하려면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시대에서 전쟁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1장의 도 이야기에만 심취하여 노자를 보아온 분이라면 31장이 「노자」를 다르게 보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양자오의 「노자를 읽다」를 읽으면 심오한 경전으로 여겨졌던 「노자」가 전국 시대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책임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의 시작 오늘의 젊은 작가 6
서유미 지음 / 민음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10
환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서 있었다. 망자보다 삶 쪽에 가가이 있지만 병원 밖의 사람들 보다 죽음에 다가서 있고 이미 죽은 자 들보다 죽음을 강하게 느끼면서 건강하게 활보하는 자들보다 삼ㄹ에 대한 열망이 더 강했다. 그래서 병원은 무덤으로 가는 정류장인 동시에 삶을 향한 갈망이 치열하게 숨쉬는 곳이다.



p71 살다 보면 그럼 때가 있다. 가장 신중해야 하는 시기, 문제 앞에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비교해 보고 실패릐 확률을 줄이기 위해 애써야 하는데 난데 없이 용감해지고 근거 없는 확신에 차 엉뚱한 길로 접어들어 버리는 때. 어떻게 해도 다 괜찮을 것 같고 다른 것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도 않는 순간.

p85 그의 미안해 는 반성과 개선의 의미를 담은 사과가 아니라 몸을 숨기고 도망가기 위한 바리게이트일 뿐이었다.

p172 누군가가 죽고 그 죽은 때문에 가족이나 지인들이 슬퍼하고 있을 때 누군가는 기회를 얻는 전화를 받고 안도한다는 사실이, 세상일이 그렇게 흘러간다는 게 이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