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거의 소개되고 있지 않은 독일의 개념사가 라인하르트 코젤렉.
얼마전 그가 편집한 [역사의 근본 개념들](Geschichtliche Grundbegriffe)의 아주 일부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이라는 이름으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지나간 미래>(문학동네, 1998)는 그의 눈부신 역작 중 하나.
비교적 번역도 좋은 듯하여 읽어 본다면, 우리가 때론 쉽게 또 때로는
너무 헐겁고 상투적으로 '근대'(Neuzeit, modern)라 부르는 시대상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어떤 역사적 인식의 패러다임을 갖게 되는지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 '근대'라 번역되곤 하는 독일어 'Neuzeit', 역사로 번역되곤 하는 'Geschichte'가
19세기 독일에서 탄생되는 맥락을 짚어내는 과정은 가히 압권이라 할 만하다.
위 이미지는 영어권에서 코젤렉의 주요 논문들만 편집해서 엮은 책의 표지로,
번역한다면 <개념사 실천>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독어판 단행본으로는 존재 하지 않는데, 여러 책에 실린 글들을 엮은 듯하다.
그중, <유토피아의 시간화>(Temporalizing of Utopia)라는 글을 읽었다.
18세기 중반을 경유하며, 비유럽 대륙의 탐사를 거의 완료한 유럽인들. 유토피아(utopia)란
'없는-장소'(u-topia)라는 뜻하는데, 그 전까지 유럽인들은 신대륙의 삶을 자신들이
잃어버린 낙원의 삶과 동일시하곤 했다. 그리하여 탐사(여행)를 다녀 온 이들은 본국으로
돌아와 신대륙에서 봤던 삶을 낭만화하며 자신들의 사회에는 '없는 장소'를 말하곤 했다는데.
결정적인 단절은 18세기 중반 전 지구의 영토를 탐사한 유럽인들에게 더 이상
낭만화할 '없는 장소'가 없게 되었다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 전까지 유토피아는 발견의 대상이었던 데 반해(신대륙의 발견),
이제 유토피아는 발견될 수 없는 무엇이 되었다는 것.
그리하여 이제 유토피아는 상상되고 창조되기 시작한다.
작가의 정신 속에서, 하나의 내러티브를 동반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관건은 여기에 있다. 동시대적 공간 속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이제 시간 속에서 발견되어야지 않겠는가.
19세기 유럽인들의 정신을 사로잡은 하나의 단어가 있다. 이른바 '역사'(Geschichte)라는 것.
맑스를 읽은 이들이라면 이 단어가 얼마나 강렬한 함의를 갖는지 알 것이다.
모든 것이 허공으로 용해되듯이,
역사는 지나간 낡은 것들을 용해시키며 새로운 미래를 창출한다.
그리하여 19세기를 전후로 하여 등장한 정치학 용어들에는 무언가에 대한 정향성을
표방하는 '-주의'(-ism)라는 접미사가 붙기 시작한다.
근대의 정치학은 존재하지 않았던 무언가를 향한 하나의 이행,
즉 역사의 진보를 향한 이행의 운동이었다.
요컨대, 18세기 중반을 넘어서며 유토피아는 시간화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시간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역사'라는 개념이다.
역사가 인류의 노동과 실천을 통해 창조되어야 하듯,
유토피아는 작가의 상상 속에서 생산되어야 했다.
'작가'(author)라는 존재는 이 역사의 위대함을 통해 그 권위(author)를 부여받는다.
여기까지 보면, 아마도 많은 이들이 근대 정치사상의 핵심적 특징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유토피아의 시간화를 통해 세계사 혹은 세계인의 삶이
작가의 상상 속에서 재구성되기 시작했고,
이 제구성된 삶에서 19세기는 자신의 시대적 과제를 발견했다.
오늘은 여기까지...
사실 <유토피안의 시간화>는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논지를 전개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