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가능성 - 나에게로 돌아오는 그림 독서 여정
조민진 지음 / 아트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년 간 기자로써 오늘을 살아온 작가는 언론계를, 현장을 떠났다.

어제와 같은 오늘이여, 안녕.

좋아하는 일을 하기로 마음먹은 사람 먹는다.

 

스스로 택한 선택을 했지만 앞으로 펼쳐질 과정은, 결과는 아무도 모른다.

현재를 살며, 미래를 준비하라 하지만, 젼혀 다른 길 앞에서 무엇 하나 확실한 것은 없다.

 

작가는 마치 현장 점검을 하듯

도구를 가지고 자신을 들여다본다. 서른 두 권의 책과 서른 일곱점의 그림이라는 도구로.

 

나라는 사람을 감싸안은 문장과 그림에 스며들며

오늘의 나를 발견하고, 내일의 나의 가능성을 스스로 생각한다. 나 또한 함께 생각하게 된다.

 

책과 그림 속 닮은 생각엔 ‘맞아 맞아’ 하는 추임새와 함께 다양한 감정이 피어오른다.

책과 그림 속 미쳐 발견 못한 생각엔 ‘이런 부분이 있었구나. 다시’ 하며 찾아 펼쳐보았다.

혼자 여도 괜찮은 시간, 이미 지나간 과거를 반추해보는 시간, 재미와 의미를 새롭게 건져보는 시간, ‘와라 내일이여’ 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시간, 읽는 행위 자체 보는 행위 자체로 시간을 잊은 시간. 그런 시간을 보냈다.

 

‘혼자여도 괜찮아’

‘혼자여서 너무 좋아’ 외칠 수 있는

고독한 독서가가 된 듯

멈추고 생각하고,

멈추고 문장을, 그림을 곱씹어 보고,

멈추고 곁의 누군가든 이야기를 나누는 산책과도 같은 독서를 했다.

 

어른이 된다는 건

추억하기 좋은 날

슬퍼도 걷는다

새로운 내일

 

노자와 히사시의 <연애 시대>와 짝은 이뤄 소개 한 그림 웨인 티보의 <두 개의 도넛>.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작품을 이해하게 되었다.

 

티보가 그린 <두 개의 도넛>을 보노라니 마치 두 주인공, 리이치로와 하루가 함께 있는 것 같다. 도넛으로 대변된 인간의 추상이라고나 할까. 실제로 티보의 화집에는 “티보의 디저트가 유난히 뇌리에 남는 이유는 이런 실질적인 이미지들이 근본적인 추상의 형태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평론이 실려있다. (중략)

1962년 뉴욕 현대미술관에 자신의 작품이 소장됐을 때, 티보는 ‘시대마다 그 시대만의 정물을 만들어낸다’라는 말을 남겼다. 티보는 시대를 반영하는 일상의 오브제를 그림으로써, 결국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P41

 

‘시대마다 그 시대만의 정물을 만들어낸다.’ – 웨인 티보

눈을 들었을 때, 동시에 읽고 있었던 <안나의 토성>(마스다 미리, 이봄)의 표지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표지에는 도넛과 교복 입은 소녀가 그려져 있다.

딸은 “엄마, 제목이 잘못되었어. 안나의 토성이 아니라 안나의 도넛 아냐?”라고 물었다.

 

웨인 티보의 말이 뇌리를 스쳤다. 마스다 미리 역시 웨인 티보처럼 각자 마음 속에 담긴 사춘기 시절의 실질적인 이미지를 추상의 형태로, 도넛으로 나타낸 것이 아닐까? 동시에 나의 사춘기 시대를 반영하는 오브제를 무얼까 하는 생각으로 연결되었다.

 

나는 ‘그네’. 밤의 모래사장처럼 펼쳐진 모래 놀이터 위의 앞 뒤로 흔들리는 두 개의 그네였다.

전진과 후진, 시계처럼, 메트로놈처럼 흔들리는 그네. 나를 싣고 친구를 싣고, 서로 주절거리며 노랫말이든, 학교 생활이든, 책 속 인물 이야기 든, 다양한 고민이든 공기 중으로 실어버릴 수 있는 그네. 과감히 발을 내리거나, 몸을 던져 버리거나, 방향을 틀어 뱅글뱅글 돌거나, 지금은 할 수 있는, 그때는 주저했던 과거와 현재의 나를 생각했다.

 

괴테는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라고 했다. 지금 올라있는 컨베이어벨트에서 뛰어내려 방황하더라도 노력해보기로 한다. 레이트 블루머가 겪는 성장통일 것이다. 이제는 나를 옮겨 심는다. 우리에게는 언제든 더 새로운 자신을 상상할 자유가 있다. 궤도를 수정했다면 또다른 길을 그려야 한다. 뭐가 됐든, 최고의 운명을 찾아가는 길이다. P257

 

책으로 그림으로 사유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행동하며

삶의 정원을 가꾸는 일, 완벽한 시작이 아니여도 괜찮아,

하면서 나무심는사람처럼 해 볼만한 기대되는 내일,

내일의 가능성의 문을 여는 책이다.

 

P.S :

나의 그림은 윤석남 작가님의 그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