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라스의 악마 반올림 54
박용기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플라스의 악마라는 종이책을 읽었다.

눈은 문장을 따라가며

머리는 문장을 상상하며, 말 그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

 

뉴턴, 아인슈타인, 우주, 블랙홀,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라플라스의 악마 등

과학과 SF장르의 자가 프레임(이건 어려워, 싫은데)의 안경을 쓰지 않으려 노력했다.

 

라플라스의 세계관,

초기 조건만 알면 모든 일을 예상할 수 있다는 착각을 생각한다.

궁극의 원리만 알면 이 세계를 알 수 있다는 오만함,

과학과 기계문명이 발달하면 인간의 일 그리고 인간 자체를 지배할 것이라는 공포를 마주했다.

 

“우주 안에서는 우주를 다 알 수 없어. 바다를 벗어나야 바다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있듯이 우주를 벗어나야 진정으로 우주를 이해할 수 있지.” P31

 

인간과 인간 사이에도 적절한 거리가 필요하듯,

인간과 상황, 인간과 과학 사이에도 적절할 거리가 필요한데,

거리감 없이, 본질이 무엇인지 파악되지 못한 채 현상 속에만 매몰되어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인간과 상황, 인간과 과학 사이에서 인간은 주체적인 움직임을 양보하고, 피동적으로 움직여지는 존재로 여기고 성급한 결론을 내고, 두려워 떤다. 기계에게 일자리를 뺏기고, 기계의 지배를 받고, 결국 지구 밖으로 쫓겨나리라는.

 

“우리가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지 알 때 우리는 세계를 이해하게 된다. 세계는 궁극의 원리로 규명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거야.”

 

과학의 세계도, 어린이의 세계로 그렇다.

어른인 나, 아이였던 나의 행동이 중요하다. 라플라스의 악마가 될 수 있는 것도 나, 세계의 이해자가 되는 것도 나이다. 가장 나답게 살 수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머리에서 가슴, 가슴에서 발로의 끊임없는 순환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