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는 모든 순간이 소통이다
고명순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끼리 이야기를 하다보면 느끼는 것이 육아는 어릴때나 커서나 주제가 바뀔 뿐 늘 고민의 연속이라는 점이다. 차라리 먹이고 재워주기만하면 되는 신생아때가 편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만큼 아이가 자랄 수록 그 마음을 살펴주는 것이 어렵게 다가오기도 한다. 그런 엄마들의 고민의 답은 어쩌면 이 책의 제목처럼 '육아는 모든 순간이 소통'일 것이다.


가족은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이기에 그만큼 상처를 주기 쉽다. 그건 아이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아이에게 비수와 같은 말한마디가 평생의 상처가 될 수 있다는 걸 알지만 고집불통인 아이 앞에서 꽃같은 말로만 대하기가 어려워지는 때가 있다. 반성해보지만 또 다시 후회가 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아이를 대하는 말투에 대한 부분을 읽으며 다시 한번 아이를 대할때에 있어 공감과 따뜻한 말한마디의 중요성을 상기시킬 수 있었다.

"아이에게 전해지는 부모의 한마디가 아이 인생의 이정표가 된다. 아이를 보면 부모를 안다고 했다. ..... 부모의 따뜻하고 바른 말 한마디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인생 백신이 되어줄 것이다."


5장의 목차들은 유독 가슴에 와닿았다.

[아이는 부모의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아이를 사랑할 수 있을 때 사랑하라.

-최고의 선물은 함께하는 시간이다.

-아이들은 순식간에 성장한다.

-존재 자체로 아이는 세상의 빛이다.

-아이는 소모품이 아니다, 고치려고 하지 마라.

-어떤 순간에도 아이의 편이 되어줘라.

-부모라는 지위를 남용하지 마라.


아이가 태어나며 내 삶은 완전히 바뀌었다. 그 삶이 때로는 힘겹게 느껴지는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그 새로운 세상을 열어준 아이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진다. 오은영 박사님은 육아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이가 잘 독립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늘 아이는 언젠가 나의 품을 떠날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나의 곁에 있을 동안 공감해주고 소통해주고 지지해주고 따뜻하면서도 권위있는 훈육을 하며 사랑해줘야함을 기억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