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머니가 또 시집간대요 ㅣ 한 장 한 장 우리문화 그림책
김원미 지음, 김미현 그림, 조승연 감수 / 그린북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교과 연계 : 1학년 2학기 통합(우리나라) 2. 우리의 전통문화
3학년 2학기 사회 2. 달라지는 생활 모습

『할머니가 또 시집간대요』
할머니가 또 시집간다고? 할머니의 두 번째 결혼식!
할머니가 또 시집간다니, 도대체 무슨 말일까요?
우리나라에는 혼례를 치르고 60년을 함께 산 부부가 기념하는 의미로 회혼례를 치르는 풍습이 있어요.
할머니의 두 번째 결혼은 바로 회혼례를 뜻하지요. 할머니가 또 시집을 가다니, 재미있죠?

할머니가 또 시집간대요!
이미 할아버지와 60년이나 함께 산 할머니가 연지곤지에 활옷까지 곱게 차려입고 있지 뭐예요.
지금은 접하기 어려워진 전통 혼례의 모습이지만 우리의 전통 혼례에서 신부는 연지곤지를 찍고 활옷을 입고,
신랑은 사모관대를 차려입었어요.
그리고 촛불과 다양한 의미가 담긴 음식들이 놓인 초례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혼례를 올렸답니다.
이러한 우리 민족 고유의 혼례 모습을 그림을 통해 따라가 보아요!
그림을 통해 우리의 전통문화,
혼례의 과정을 들여다보다!
어느 날 책방에서 이 책 저 책 들여다보다 발견한 공책 하나.
바로 엄마가 어릴 적 그린 그림 일기장이에요!
그런데 일기장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그림이 있었어요.
바로 머리가 새하얀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결혼하는 모습이었어요.
그림의 주인공인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누구고, 또 왜 결혼을 하고 있는 걸까요?
어리둥절해 하는 내게 엄마가 설명해 줬어요.
바로 엄마의 할아버지와 할머니이시고 회혼례를 치르시는 모습이라고요.
그러니까 저에게는 외증조할아버지와 외증조할머니지요. 그리고 엄마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외증조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어떻게 만났는지,
그 당시 혼례의 과정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외증조할머니는 왜 또 시집을 가시는 건지도 말이에요!
전통혼례의 방법들이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자세히 설명되어있어요.
중매라는 단어..아이들이 들어봤을까요?
생소한 단어들과 옛날에 사용했던 물건들도
할머니가 또 시집간대요 책을 통해 알아볼 수있어요.
신랑신부의 혼례복
신부- 활옷/ 화관
신랑 - 단령포/ 사모/각대/목화
신랑신부가 입었던 혼례복의 명칭도 자세히 알기쉽게 설명되어있어요.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결혼을 할머니집안에서 허락하자
할아버지 집안 어른들께 청혼서와 함께 할아버지의
태어난 떄를 써넣은 사주단자를 할머니댁에 보내요.
자주단자.
옛날에는 집안어른들의 허락을 위해 사주단자와 청혼서를
주고받았다네요..
혼례일이 정해지만
신부에게 보낼 함을 정성껏 준비해 보낸답니다.
신부에게 보내는 선물이지요..
이 풍습은 지금도 결혼할때 신부측에 보내고 있지요^^
책을 읽는 중간중간..아이들이 궁금해할이야기들.. 왜 그랬을까?
하는 궁금증의 이야기들이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어
책을 함께보는 부모님들도 함꼐 읽어가며 아이와 호기심을
풀어주고, 설명도해줄수 있어 책 구성이 너무 좋아요.
신랑과 신부의 결혼식~~
지금의 현대식 결혼과는 다르지만..우리의 전통문화인 전통결혼식의 방법과
지금의 결혼식은 많이 비슷한점이 있답니다.
술잔을 나누며 백년해로를 약속해요.
이제 부부가 되어 하나가 되었다는 뜻이 담겨져 있답니다.
전통혼례 상차림도 알기쉽게 설명되어 있어요.
결혼을하고..첫밤을 치룬후.....시댁에 가져갈 폐백 음식을
어머님꼐서는 정성껏 준비해 주시죠..
폐백에 담긴 뜻은
신부가 시집의 웃어른들을 잘 모시겠다는 뜻으로, 친정에서 가져온 음식과
비단을 선물하며 절을 올리는 예식을 말해요.
아들딸 많이 낳아 잘길러라.
폐백의식은 잡귀를 쫒기 위해서래요.
할아버지 할머니의 두번째 결혼식, 회혼례
회혼례는 집안의 큰 경사래요. 혼례를 치루고 60년이 되는해에
부부가 다시 혼례를 치르는 혼례의식을 말한데요.
두부부가 60년을 해로하며 함께 산다는것은 정말 큰 축복이고 감사한일같아요
저희 부부도 앞으로 60년을 함께 해로하며..
이렇게 회혼례를 다시 하고 싶네요^^
우리의 전통문화속 전통혼례는 참 멋스러운것 같아요.
한눈에 살펴볼 수있도록
전통 혼례의 절차를 살펴보아요.
가계도를 보며 가족관계 가족간의 호칭도 한번도 알아보지요.
저도 어려운 호칭관계가 이렇게 가계도를 보니
한눈에 알 수 있겠어요.
왕과 왕비의 혼례식도 알아보아요.
왕과 왕비의 혼례는 가례라고 했답니다.
훨씬 웅장하고 복잡했데요.
화려하고 장엄한 궁중혼례복~~~
왕실이 가진 최고의 권위를 표현한 왕과 왕비의 혼례복은 무처 화려하고 장엄했답니다.

혼례는 일생 동안 치르는 의례 중 하나라 하여 일생의례로 불립니다.
이처럼 그 자체로도 큰 의미를 지니는 혼례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대대로 혼례를 치르는 것은
단순히 남녀가 만나서 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두 집안의 결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두 집안이 정성을 다해 혼례를 준비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혼례의 과정이 완성되었습니다.
시대가 변하며 결혼 풍속이 많이 변했지만
그 과정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와 깊은 뜻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지요.
이 책에서는 전통 혼례의 과정을 그림으로 담아 들여다봅니다.
아이들과 함께 자주 접할수없는 전통혼례의 모습에 대해 알려주고,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살펴볼 수있는 재미있는 책이였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