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 논리적 사고를 위한 프랑스식 인문학 공부
사카모토 타카시 지음, 곽현아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마다 치러지는 우리나라 수능시험. 12년간의 제도권 교육의 최종 관문임과 동시에 앞으로의 진로의 성패를 판가르는 시험인데 하루 한나절 문제풀기로 판가름이 난다. 물론 시험 이후 각 대학별로 전형이 있기는 하나, 수능 시험 자체는 하루에 치러진다. 그리고 이후, 난이도에 대해서 그리고 문제 출제에 관한 분석이 신문 지면을 차지한다. 긴 교육과정의 내용을 하루에 평가한다는 것도 불합리하지만, 그보다는 수능시험이 과연 대학 수업을 성공적으로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학생의 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적합한지도 더불어 생각해보게 된다.

다른 나라의 입시제도 중에서 독특하게 철학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프랑스의 입시를 많이 떠올린다. < 바칼로레아 >는 프랑스의 입시시험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실제로 어떤 준비과정이 있고 어떻게 시험이 치러지는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그들의 교육 철학의 일면을 접해볼 수 있었다.


 

프랑스의 고교 교육과정엔 필수과목으로 철학이 포함되어 있다. 고교과정에서 철학적인 주제나 개념 그리고 철학자들을 다룬다. 이들의 철학교육이 초중등 교육의 종합적인 정리 역할을 담당한다. 그때까지 배운 문학적 예술적 교양이나 과학적지식, 역사적 인식과 같은 지식이 바탕이 된다. 다양한 교과에서 배운 지식을 철학이라는 틀 안에서 재구성하는 것이라 보면 된다. 물론 프랑스어가 필수적인 도구가 됨은 말할 필요도 없고, 문법적 실수가 없어야 함은 기본으로 단어나 표현에 이르기까지 모두 종합적인 평가의 대상이 되는 셈이다.

철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생각하는 자유를 획득하고,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무기가 되는 논리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삼는 프랑스식 교육이 특별하게 다가온다.

저자는 바칼로레아의 논술식 평가방식에 접근하는 방법을 일목요연하게 체계적으로 펼쳐보인다.

ㄴ 문제분석

ㄴ 도입 - 전개 - 결론의 구성

ㄴ 철학적 논거를 활용하여 의견을 뒷받침 하기

각 단계를 잘 살펴보면, 주어진 주제와 연관된 소논문을 구성하는 사고의 틀을 전개하는 연습,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논리학, 수사학이 결국 철학의 근간이었음을 생각하면 철학과 논리로 다져지는 생각의 틀과 힘에 주목하게 된다.

저자는 바칼로레아에서 자주 출제되는 노동, 기술, 자유, 권리, 정의와 같은 개념을 쪽집개 강사가 능수능란하게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듯이, 각 개념과 연관된 문항에 접근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책을 읽다보면 정해진 답을 좇아가는 교육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는 힘에 방점을 두고 교육하는 프랑스의 교육과 철학의 힘을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다양한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고, 민주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필요한 스스로 생각하고 설득력있게 표현하는 능력과 자세를 확립하는 이들의 철학적 사고력~!! 우리도 사고의 폭을 넒혀 정해진 답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사고력과 논리적 표현력을 챙기는 교육을 지향해야하지 않을런지..

= 네이버카페 문화충전을 통해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자유로이 작성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