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식 농장, 지구가 아파요! 지구가 아파요!
데이비드 웨스트.올리버 웨스트 지음, 올리버 웨스트 그림, 이종원 옮김 / 지구별어린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 티핑 포인트

제가 최근에 들어본 말 중

가장 무서운 단어가 아닐까 싶어요.

지구의 온도가 1.5도 상승되면

균형이 깨지면서 기후가 급격히 변화해

지구에 위기가 올 수 있는데

이 1.5도가 그 한계점이라는 거죠.



잦아진 폭염,

그로 인한 대형 화재,

급작스러운 폭우에 따른 홍수 등을 통해

우리는 이미 기후 변화의 이상한 낌새를

체감하고 있어요.

지구의 온도는 왜 올라갈까요?

온도를 낮추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규씨와 공장식 농장, 지구가 아파요!

환경 그림책을 통해 원인을 찾아보기로 했어요.

현재 전 세계 인구는 약 70억 명.

제 옛 기억에는 전세계 60억 인구였는데

어느새 10억 명이 늘어났네요.

하지만 2050년에는

100억 명에 달할 것이라 예상한대요.

어마어마한 숫자긴 하지만

인구는 꾸준히 늘어왔는데

그게 왜 갑자기 문제일까?

사실 인구가 꾸준히 늚과 동시에

많은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왔어요.

갑자기 가 아니라 한계점에 도달하기 직전인 거죠.

공장식 농장, 지구가 아파요! 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 중 우리가 하루 세 번,

매일 먹는 식량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어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쌀과 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물고기 등이

대량으로 필요하게 되었고

공장식 농장이 발달하게 됐어요.

농업 기술의 발달과

질산염과 인산염 성분의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빠르게 더 많은 농작물을 얻을 수 있었죠.

하지만 화학비료는

땅의 질을 떨어뜨리고 바다로 유입돼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말았어요.

70년 전 과일 채소에 비해

현재 먹고 있는 것들은 영양소가 줄어있다는 자료를 보니

인간의 욕심이 인간을 병들게 하는구나 싶었어요.


빠져나간 영양소의 빨간 글자를

읽어 내려가며 규씨가 한 마디 했어요.

앞으로

감자, 브로콜리, 양파, 토마토,

바나나 먹으면 안 될 거 같아.

영양분이 빠져나갔대.

그렇다고 안 먹진 말자;;

모두가 함께 고민하면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야!!

뉴스에서도 많이 봐왔듯

닭, 돼지, 소들도 밀집되어

공장식 농장이 운영되고 있어요.

너무 불쌍해.

이런대서 생활하니까...

입장 바꿔 생각해 봐야지.

만약에 우리가 이런 대 갇혀서

먹고, 자고, 싸고 이렇게 하면 어떨 거 같아.

안 좋잖아. 그러니까 좀 더!

1미터라도 넓혀줘야 해.

좁은 철창에 갇혀 사육되는 닭들을 보며

규씨는 눈물이 날것 같다고도 말했어요.

닭들이 너무 스트레스 받아 죽을 거 같아.

이 닭을 잡아먹을 때 우리도 안 좋아.

인구의 증가로 육류의 소비가 늘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공장식 농장을 운영할 수 있는

땅을 일구려 열대 우림까지 파괴하는

악순환이 지금도 벌어지고 있어요.

가축들이 내뿜는 메탄가스,

밀집 사육에 따른 전염병 확산으로

집단 폐사에까지 이르는 일들 역시

지구의 온도를 올리죠.

규씨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한 페이지예요.

공장식 농장을 쓰지 않고

그냥 농장을 사용해서 좋았어.

저도 이 장면을 보며 자연스러움이

인간도 동물도 평화로워 보이는 거구나

하고 느꼈어요.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업,

도심 곳곳의 남는 땅을 이용한 도시 농장,

LED 조명과 배양액을 사용한 수경재배 등

인간만을 위한 공장식 농장이 아닌 자연을 생각한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걸 알려주고 있어요.

육류 등의 섭취로 지구가 왜 아픈지

지구의 온도가 왜 올라가는지

자세한 그림과 초등생의 눈높이에 맞춘 설명으로

규씨가 이해하며 읽기에 딱 좋았어요.

Q. 규씨의 한 줄 평은?

이 책은 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인 거 같습니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