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오두막
마리 도를레앙 지음, 이경혜 옮김 / JEI재능교육(재능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 마을이

우리가 밖으로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리는 것 같아요.

우리의 오두막 中

푸르른 자연과 친구들의 우정이 함께한

<우리의 오두막>

곧 여름방학을 맞이할 규씨와 함께 만나봤어요.

Q. 표지 그림 어때?

숲이 울~창해.

♪ 울~~창한 숲의 아~~이~

요들레이유~♬

잠자기 전 읽었더니 감성이 풍부해진 규씨는

자작곡 노래를 불렀어요.

요들레이는 어디서 들은 건지 ㅋㅋ


오오오~

풀밭 그림은 보면 볼수록 감탄을 자아냈어요.

멈춰있는 그림인데 풀들이

가닥가닥 바람에 흩날리는 듯 보였거든요.

이 책의 저자인 마리 도를레앙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로도 활동하고 있는데

그림선이 남다르네요.

다른 그림책도 읽고 싶어졌어요.

어떻게 했지? 어려울 텐데.

부드러워 보여. 연필 같긴 한데...

규씨는 그림 기법에 대해 궁금해했어요.

온 마을이 기다리고 기다리던 아이들이

드디어 문밖을 나섰어요.

뒷모습만 봐도 얼마나 신이 났는지 알 수 있어요.

얘들아,

우리 '거기' 갈까?

'거기'라고만 말해도 알 수 있는

아이들만의 비밀 아지트가 있는 게 분명해요~

삼총사의 아지트는 과연 어디일까요?


옆집을 지나고, 양떼 목장을 지나며

아이들은 재잘재잘 쉴 새 없이 일상을 이야기해요.

아이들의 비밀 장소는

풀이 허리까지 자란 들판도 지나가야 했어요.

파도치는 바다는 헤엄쳐 가는 듯 보이기도 해요.

Q. 여긴 어느 나라일까?

캐나다!

캐나다가 이렇게 나무를 살리고

숲이 울창하잖아.

몰랐어?

캐나다 숲을 생각해냈구나!

그럼 규씨가 있는 이곳이 캐나다인 게지~

앞서거니 뒤서거니 가기도 하고

같은 길로 가다 방향이 달라지기도 해요.

앞서지 못하고 계속 뒤에서 따라가는 경우도 있죠.

따갑진 않을까? 생각됐지만

아이들은 아랑곳 않고

씩씩하게 들판을 헤쳐나가고 있어요.

숲에서 자연물 구경하는 걸 좋아하는 규씨는

<우리의 오두막> 친구들이 부러운 듯하면서도

숲에서 만날 모기를 걱정했어요.

그런데 맑았던 날씨가 흐려졌어요.

마리 도를레앙은

하늘이 몰래 음모를 꾸미는 것 같다고 표현했어요.

Q. 하늘은 어떤 음모를 꾸미는 걸까?

비 내리려고.

천둥, 번개, 바람.

얘는 거의 날아갈 것 같아.

앞으로 갈 수도

그렇다고 서 있기도 힘든 정도의 바람으로

아이들의 아지트행은 고비를 맞아요.

바람의 강도는 세졌다 약해졌다

아이들을 주변을 빙빙 돌기도 하며

모든 게 혼돈이에요.

친구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이 위기를 극복해요.

그 사이 바람도 잦아들었죠.

강한 바람에 쓰러진 나무들이 보이지만

아이들은 서로 의지하며 가던 길을 끝까지 가요.

그들의 아지트를 걱정하면서.

우리의 오두막은

거기 그대로 있어요.

멀쩡하게, 당당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어요.

우리의 오두막 中

친구들의 아지트는 바로 숲속 오두막이었어요!

강한 바람에도 무너지지 않고 잘 버터 냈죠.

누가 시키지 않아도 주변을 정리하고

수리하며 책임감을 갖고

오두막을 지켜내는 아이들이 멋져요.

일은 힘들지언정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아이들의 표정은

어느 때보다 밝은 것 같아요.

규씨가 움집 같다고 말한

이 오두막이 나온 장면은 <우리의 오두막>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꼽은 장면이기도 해요.

오두막에 애들이 들어가서

민들레차 마시는 게 기억에 남습니다.

왜냐하면 편해 보이고

뿌듯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오두막이

멋졌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학교 수업하듯이 발표하는 규씨의 대답에

잠이 달아나도록 웃었어요.


나도 나중에 저 애들처럼

잔디밭이 있는 집에서 오두막을

친구하고 만들 거야.

집 앞 마당이 더 가깝잖아.

친구가 더 빨리 올 수 있어.

정말 누구보다 신나게 친구들과

오두막을 만들 아이인데... 코로나19... 4단계...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에요.


아이들은 앞으로의 삶 속에서

여러 가지 혼돈을 겪게 될 거예요.

하지만 숲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돌풍을 이겨냈듯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겨낼 거라 믿어요.

이겨내지 못하더라도 실패를 통해

다음의 성공을 노릴 수 있을 거고요.

<우리의 오두막>을 읽으며

그런 힘든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지치면

쉴 수 있는 오두막 같은 존재가

되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매 순간이 처음이라

혼돈을 겪겠지만 말이죠~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