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채무 관계 노란 잠수함 10
김선정 지음, 우지현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에게 돈을 빌려줘도 될까?

빌려준다면 그 액수는 얼마까지 가능할까?

빌려줬는데 갚지 않는다면??

초등 2학년인 규씨는

아직 용돈을 받고 있진 않아요.

용돈을 받기 시작하면

친구들과 어울려 문구점에도 가고 편의점도 가겠죠.

그럼 친구들끼리 서로 돈을 빌려주거나

빌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아직 경제활동이 익숙지 않은

초등학생들이라 문제가 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런 돌발 상황을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내가 그 상황에 처했다고 생각하다 보면

자신의 경제관념이 구축되어

흔들리지 않고 건강한 경제활동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서 친구, 돈, 경제관념

이 쉽지 않은 주제를 재미있는 이야기로 접할 수 있는

'우리 반 채무 관계'

규씨와 읽어봤어요.



Q. 채무가 뭘까?

돈?

돈 뺏는 거?

돈 뺏는 걸 보호하는 거?

표지의 그림을 보고 돈과 관계가 있다는

감이 왔나 봐요. 오오~

하지만 땡!

채무 = 빚

= 남에게 빌린 돈을 갚아야 하는 것

이라고 설명해 주고 책 읽기를 시작했어요.

'우리 반 채무 관계'

시원이와 찬수의 금전 거래로 이야기가 시작돼요.

빌려준 사람(채권자) : 구찬수

갚아야 할 사람(채무자) : 이시원


<월요일>

시원이는 찬수에게 빌린 돈을

찬수의 사물함에 넣었다고 하지만

사물함을 아무리 찾아봐도 돈은 보이지 않았어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규씨도 저도 정말 궁금했던 순간이었어요.

그러니 찬수는 얼마나 답답했을까요...

찬수와 시원이 사이에 실제 돈거래가 있었던

지난 금요일로 돌아가 볼게요.

<지난 금요일>

리코더를 사러 문구점에 간 찬수는

그곳에서 시원이를 만났어요.

시원이는 3,000원을 빌려주면

월요일에 3,500원으로 갚겠다며

돈을 빌려달라고 이야기하죠.

500원을 더 받을 생각에 찬수는 리코더도 사지 않고

시원이에게 돈을 빌려주고 말아요.

500원만 더 있으면

아르세우스 딱지를 살 수 있거든요.

내가 아는 형도

아르세우스 딱지 있는데!

포켓몬 딱지의 등장에 규씨도 신이 났어요.

하지만 월요일이 되어 학교에 갔더니

시원이가 사물함에 넣어놨다는 3,500원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상태였어요.

그래서 반 친구 형식이의 제안으로

<채무 관계를 합리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규칙 만들기 회의>

열리게 되었어요.

학급회의에 앞서

지켜야 할 규칙을 먼저 정했어요.

1. 남의 말 가로채지 않기

2. 말할 때 웃거나 울지 않기

3. 다른 사람 이름 말하지 않기

이 세 가지만 잘 지켜줘도

원활한 회의가 가능하겠어요.

이런 규칙들 없이 회의를 진행했다면

상대방의 이야기는 듣지 않고

서로 우기며 자신의 주장만 펼쳤을 수도 있겠어요.

드디어 시작된 회의.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본질적인 질문

2가지를 먼저 던졌어요.

1. 학교에 꼭 돈을 가져와야 하나?

이 질문에는 만장일치의 대답 "네!"

이유는 간단했어요.

배고프니까!

하교 후 배가 고파

간식을 사 먹어야 한다는 주장이었어요.

규씨 역시 학교에 돈을 가져가야 한다에

한 표를 행사했어요.

갖고 다녀야지!!

친구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데

나는 못 먹으면 어떡해.

2. 내 돈으로 나만 사 먹으면 되지 않나?

자기만 사 먹으면

친구들도 사 먹고 싶잖아.

깜빡하고 안 가져온 친구들은 부럽잖아.

먹고 싶고...

찬수네 반 친구들의 의견도

규씨와 크게 다르지 않았어요.

문구점에서 만난 친구와 함께 간식을 사 먹으며

여러 가지 정보도 나누는 사회생활이었던 거죠.


본질적은 질문에 대한 결론은 나왔으니

세부적인 규칙을 정해야 할 시간이 됐어요.

1. 친구에게 얼마까지 사줄 수 있나?

2. 친구에게 돈을 빌려도 될까?

3. 빌린다면 언제 갚아야 하나?


의견이 분분했지만

세 번의 회의를 거쳐 규칙이 완성됐어요.

사줄 수 있는 돈도, 빌려줄 수 있는 돈도

찬수가 제안한 500원으로 최종 결정됐고,

3일 안에 직접 갚기로 말이죠.



Q. 책을 덮고 생각나는 단어는?

이시원, 구찬수, 선생님,

돈, 500원, 1000원, 친구들,

칠판, 6학년, 3학년.


Q. 어려웠던 표현은?

근.... 뭐가 있었는데

빌려줄 수 있는 돈의 금액을 500원이라고 한

근거를 말해보라는 선생님의 말씀 중

'근거'라는 단어가 어려웠다고 하더라고요.

500원이라고 말한 이유를

설명하면 되는 거라고 얘기해 줬어요.



친구들이 회의를 통해 채무와 관련된 문제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실감 나는 이야기와 그림으로 구성해 놓은

'우리 반 채무 관계'

2학년인 규씨도 함께 공감하며

경제관념까지 기를 수 있는 책이었어요~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