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빵.국수 - 아시아의 식탁 똑똑한 책꽂이 20
이은미 지음, 박태희 그림 / 키다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킷리스트라고 들어보셨어요?

코로나19+버킷리스트의 합성어인데

코로나19가 종식되면 하고 싶은 것들의

목록을 말하는 신조어예요.

저와 규씨의 코킷리스트 첫 번째는

단어만 봐도 설레는

'여행'이에요.

 

 

국내여행도 힘든 이 시국에

세계여행은 꿈도 못 꾸지만

<밥 빵 국수>

- 아시아의 식탁 -

책으로 가까운 아시아로

음식 문화 체험 여행을 다녀왔어요~

 

 

 

 

【 쌀의 종류가 달라요 】

아시아의 주식인 쌀은

날씨가 따뜻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어요.

한국에서 먹는 쌀은 자포니카

동남아시아에서 먹는 쌀은 인디카예요.

쌀의 이름은 처음 알았어요.

"인디카가 뭐지?

아! 밥 이름이구나!

오~ 엄청기네. 몇 배야. 너무 길다~"

 

규씨는 한국의 쌀보다 훨씬 긴

인디카를 보고 몇 배인지 재보며 놀라더라고요.

코로나 단계가 낮아지면 태국 식당에 가서

인디카로 만든 볶음밥을 실제로 시켜줘봐야겠어요.

 

 

【 밥상을 차려 보아요 】

한눈에 봐도 한 상차림들이에요.

밥과 국을 기본으로 김치와 다양한 밑반찬을

곁들이는 한국인의 밥상과

렌당(장조림), 사테(꼬치요리),

달걀, 생선, 두부 요리를 밥과 함께 먹는

인도네시아의 상차림에서

사는 곳과 문화는 달라도

밥과 다양한 반찬을 먹는 건 비슷하단

생각이 들었어요.

"인도는 큰 그릇에다 먹는대.

오와! 손으로 먹나 봐.

젓가락 숟가락이 안 그려져 있네!"

 

한국, 인도, 일본, 인도네시아

가정의 상차림이 나와있는 페이지에서 규씨는

커다란 접시에 담아 먹는

인도의 밥상 탈리를 신기해했어요.

 

 

 

"베트남 볶음밥 이름이

껌찌엔이래.

엄마가 가고 싶은 베트남."

 

하루 3끼 챙겨 먹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닌데

여기 나와있는 카오팟, 비리야니, 차오판,

필래프 볶음밥만 해먹어도

일주일은 점심 메뉴 걱정 없겠어요.

그리고

베트남은 엄마가 아니라

아빠가 가고 싶은 나라야 ㅋㅋㅋ

 

 

【 나라별 볶음밥 만들어 보기 】

검색할 것도 없이 바로 뒤 페이지에

인도네시아의 나시고렝과

우즈베키스탄의 쁠로프

만드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었어요.

'나시'는 쌀, '고렝'은 볶음이라는 뜻이었네요.

해산물이나 각종 고기와 채소를

나시고렝 소스와 함께 볶으면 끝!

'쁠로프'는 특이한 게

고기와 채소를 기름에 담가 오래 끓인 다음

쌀을 넣어 볶는다는데 맛이 정말 궁금해요~

 

 

 

【 주식으로 먹는 빵들 】

"왜 이렇게 산더미처럼 쌓아놨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먹는 빵

'리뾰쉬카'가 잔뜩 쌓여있자 규씨가 궁금해했어요.

식료품 시장에 진열되어 있는 빵을

표현한 거 같다고 설명해 줬어요.

이름도 어려운 리뾰쉬카;;;

빵 위의 무늬가 꼭 암모나이트 화석 같아요.

밀가루 반죽에 무늬가 새겨져 있는

틀로 찍고 깨도 뿌린다고 하니 손이 많이 가겠어요.

 

 

 

인도의 '난'도 유명하죠.

화덕에 구워 기름기 없이 담백하게

먹을 수 있고 카레에 찍어 먹으면 더 맛있어요.

 

 

 

 

【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국수 찾기 】

이상형 월드컵이 아닌 국수 월드컵이네요~

몽골의 '초이왕', 태국의 '팟타이',

일본의 '우동', 싱가포르의 '락사' 등

다양한 국수 중 평소 취향을 통해

나에게 맞는 국수를 찾아보는 페이지예요.

이런 국수 찾기 놀이나

재미있는 그림과 이야기, 쉬운 설명들은

집중력이 길지 않은 초등 저학년도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줘요.

 

내 입맛 국수 월드컵의 결과는~~~

규씨는 필리핀의 '판싯'이

저는 베트남의 '퍼보'가 당첨됐어요~

 

초등 2학년 2학기 통합 교과서 '겨울'에는

두근두근 세계여행의 주제가 수록되어 있어요.

세계 여러 나라 중 가봤던 나라나,

먹어봤던 음식 등 나라별 의식주와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림도 그리며 수업하더라고요.

올해 2학년이 되는 규씨는

밥 빵 국수 책을 보며 자연스럽게

초등교과연계 독서가 이루어졌어요.

 

 

 

 

 

【 아시아 어린이들은 어떤 간식을 먹을까 】

규씨가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 봤던 페이지예요.

다른 나라의 친구들이 먹는 간식이 궁긍했던지

실제 사진까지 보여달래서 검색하며

같이 찾아보기도 했어요.

 

 

"실제로 보고 싶어 '꼼'

먹어보고 싶다."

 

쌀을 쪄서 만든 '꼼'은

쫄깃하고 고소한 맛이 나는데

바나나랑 같이 먹는다고 해요.

 

 

 

 

【 기쁜 날 함께 먹는 음식 】

"필리핀 음식 이름이 있는데

몇 글자만 빼면 바보야.

리천 바보이.

기쁜 날 함께 먹는 음식이래."

 

어린 돼지 통바베큐의 이름이

리천바보이였어요.

필리핀 축제에 빠지지 않는 음식이라는데

규씨때문에 이 음식 이름은

잊을래야 잊을 수가 없게됐네요;;;

 

【 먹는 방법이 달라요 】에서

우즈베키스탄과 필리핀 사람들이

손으로 식사한다는 내용을 보더니

코로나에 걸리게 왜 손으로 먹냐며

의문스러워하는 모습도 보였어요;;;

그 나라의 음식 문화라고 얘기해 줬죠.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음식도 똑같은 거 같아요.

재료와 그 나라의 문화를 아는 만큼

맛을 더 음미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규씨가 경험하게 될

여러 나라의 음식들은

밥 빵 국수 책으로 알게 된 지식으로 인해

더 깊은 맛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싶어요~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