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리 쓰는 찾기책 : 명화 틀린 그림 찾기 ㅣ 머리 쓰는 찾기책
이소비 지음 / 라이카미(부즈펌어린이) / 2020년 11월
평점 :
<머리 쓰는 찾기책 - 명화 틀린 그림 찾기>
명화를 이보다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방법이 또 있을까 싶어요!
명화 속 틀림 그림을 찾으며
그 시대 속 사람들까지 만나 볼 수 있는
<머리 쓰는 찾기책>
명화 틀린 그림 찾기를 만나봤어요.

빈센트 반고흐 <아를의 반고흐의 방>부터
장 프랑수아 밀레 <이삭 줍는 여인들>
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나리자> 등등
한국인이 좋아하는 명화들이 모두 모여 있네요~
규씨는 명화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것 같은데
함께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좋았어요.^^

그럼 본격적으로
<머리 쓰는 찾기책>
명화 틀린 그림 찾기를 살펴볼까요~
책의 구성을 보면
왼쪽에는 명화의 원본이 자리하고 있고
오른쪽은 틀린 그림 10개를
숨겨 놓은 그림이 배치되어 있어요.
어떤 쪽이 원본인지 말을 안 해줘서
왼쪽에 틀린 그림 찾은 표시를 할까 봐
은근 신경 쓰였는데 자연스럽게
오른쪽에 동그라미를 하더라고요.
둘 중 어떤 그림이 원본일~까?
물었더니 왼쪽이 원본인 걸 알고 있었더라고요.
명화를 보는 눈 1차 합격!
^^

왼쪽 페이지 아래에는
명화의 제목, 화가의 이름,
작품 연도, 난이도가 표시되어 있어
해당 명화를 처음 보는 사람도
누구의 작품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그리고 오른쪽 페이지 아래에는
그림에 대한 숨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데
고흐가 이사 간 노란 집을 마음에 들어 했던 것과
밀레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것 등의 내용을 통해
명화를 더욱 재미있는 시선으로 볼 수 있었어요.

에드바르 뭉크의 <불안> 페이지예요.
뭉크의 유명작 <절규>와 느낌과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설명을 보니 <칼 요한 거리의 봄날 저녁>에
등장하는 인물과 <절규>에 나오는
다리 위 풍경이 합쳐진 그림이었어요.
"여긴 구멍이 없는데 여긴 있어.
몇 개야? 하나, 둘... 여덟."
"아하! 나 찾았어. 여기 유니콘 그림."
규씨와 누나가 힘을 합쳐
명화 속 구석구석 틀린 그림을 찾아냈어요.

클로드 모네의 <파라솔을 든 여인>이에요.
구름 속 귀여운 유령, 선글라스를 낀 여인과
토끼모자를 쓴 아이 등등을 찾아냈어요.
원작의 느낌은 살리면서 곳곳에 상상력을 더해
재미있게 틀린 그림들을 첨가해 놓았어요.
묘~하게 다른 그림들을 찾다 보면
자연스럽게 명화의 이곳저곳을
반복해서 훑게 되더라고요.

이번엔 누나와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
틀린 그림을 찾고 있어요.
규씨는 누나랑 같이 찾다가도
뒤의 그림이 궁금한지 계속 들춰보다 티격태격;;
서로 먼저 찾으려고 경쟁하며 까르르.
둘이 함께 찾다 보니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순식간에 찾아내더라고요.

"이모!
저는 이삭 줍는 여인들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화가들은 여왕 같은 사람만 그리는데
그 화가는 가난한 사람들을 그려서 기억에 남았어요."
귀족의 삶을 그린 명화를 더 많이 접했던 조카는
농민들의 일상을 그린 이삭 줍는 여인들이
인상 깊었다고 이야기 했어요.
일반인들의 평범한 삶이 그려있는
명화들도 찾아서 같이 감상해 봐야겠어요.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순간
규씨와 저는 웃고 말았어요.
인간의 절망과 공포가 묻어있는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가 이렇게 코믹한
그림으로도 바뀔 수 있더라고요.
규씨의 표현에 의하면
놀란 고릴라 코
괴물 식물
삼겹살
현재 배 옛날 배를
찾았다고 이야기 했어요.ㅋㅋ

틀린 그림을 찾으면서 숫자 세는 게 번거로웠는지
아래에 숫자를 써가면서 찾더라고요.
나름 편한 방법을 찾아가며
스스로 책에 적응해나가는 아이들이에요.

대부분 잘 찾아냈지만,
혹시 어려워하는 친구들은
책 제일 뒤에 수록되어 있는 정답을 확인하고
엄마가 힌트를 줘도 될 것 같아요~
명화는 어렵다는 선입견 없이
순수하게 놀이책으로 접근했다
저절로 명화에 입문하게 만드는
<머리 쓰는 찾기책>
명화 틀린 그림 찾기!!
덕분에 집에서 편하게 명화를 감상하며
교양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