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 군, 우리 집에서 과학을 찾아줘! - 집에서 만나는 알쏭달쏭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우에타니 부부 지음, 오승민 옮김, 사마키 다케오 감수 / 더숲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하면 어떤 생각이 드세요?

저만해도 과학은 어려운 학문.

이라는 선입견이 있는데요.

 

 

 

저와 달리 규씨와 같은 어린 초등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선입견이 없기 때문에

[돋보기 군, 우리 집에서 과학을 찾아줘!]와 같이

재미요소가 첨가된 책을 접할 수 있게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

 

 

학습만화는 어린이들이 모두 좋아하는 책일 텐데요.

이 책에서는 돋보기 모양의 '돋보기 군'

캐릭터가 등장해 궁금한 것들을 찾아내고,

알기 쉽게 설명해 주는 도우미 역학을 하고 있어요.

규씨도 너무 귀엽다며 좋아하더라고요.ㅋㅋ

돋보기 군 말고도 작가 우에타니 부부가가 쓴 다른 책엔

비커 군, 미터 군도 등장한다고 하니

찾아봐야겠어요.

 

 

 

돋보기 군을 따라 돋보기 군의 방, 부엌,

욕실/세면대/화장실, 거실 등을 다니다 보면

아이들이 평소 생활하며 생겼을 일상 과학 속

궁금증에 대한 답도 찾을 수 있겠어요.

 

 

연필, 공, 풀, 카메라, 핸드폰, 냉장고,

텔레비전, 전자레인지 등등

우리 생활 속의 작고 큰 모든 것들에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지 찾아볼까요~?

 

 

 

1장에서는 돋보기 군의 방에서

과학을 찾아볼 수 있어요.

제일 처음 소개된 것은 '연필'이었는데요.

1학년인 규씨가 8년 인생 중 요즘처럼

연필을 많이 사용한 적이 없을 정도로

매일 접하는 문구다 보니 이미 집중 모드예요.

 

 

보통 2B, B 연필만 챙겨주다

얼마 전에 HB 연필이 섞여 들어간 적이 있었는데

"이건 왜 이렇게 안 써져."

혼잣말을 하더니 다른 연필로 바꿔 쓰더라고요.

 

 

그때는 그냥 지나쳤는데

[돋보기 군, 우리 집에서 과학을 찾아줘!]

만났으니 연필심의 진한 정도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해 알아봐야겠어요!!

 

 

<연필심은 무엇으로 만드나요?>

연필심은 흑연점토

이 두 가지 재료를 섞어서 만든대요.

아~아~~!!!!

점토가 섞이는 건 저도 처음 알았어요.

흑연과 점토를 섞는 비율에 따라

연필심의 진하기와 강도가 달라진고 하니

정말 신기하네요~

 

 

 

 

Q. 규씨는 어떤 연필이 제일 좋아?

"난 6B. 엄청 진하니까.

HB는 엄청 안 나오는데 6B는 더 잘 나오잖아."

흐릴 바에는 제일 진한 연필을 선택한 규씨였어요.

사실 저도 부드럽고 진한

4B연필을 좋아한답니다.ㅋㅋ

 

 

 

다음 페이지 '연필의 이모저모'에서는

연필이 써지는 원리, 지우개가 지우는 원리,

색연필이 지워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어요.

귀여운 연필이 종이에 쓱쓱 그림을 그리자

오른쪽에 확대된 종이 표면의 울퉁불퉁한 틈으로

연필심 가루들이 들어가며 그림이 완성되는 원리인데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그림과 간결한 설명으로

규씨도 쉽게 이해한 뒤 저에게 다시 설명해 주더라고요.

저도 몰랐던 원리들에 규씨보다 더 큰 리액션을

보일 정도로 재밌었어요. ㅋㅋㅋ

 

 

규씨에게 소개해 주고 싶은 페이지가 있는지 물었더니

<풀은 어떻게 종이와 종이를 붙이나요?>

펼쳐 보여주며 저에게 설명해 줬어요.

 

 

"종이에다 풀은 원래 그냥 붙는 건 줄 알았어.

근데, 종이를 확대해 보면 울퉁불퉁 하대.

나 이거 몰랐어. 지퍼 같아."

원래 붙는 게 아니라 종이의 울퉁불퉁한 틈으로

들어간 풀이 겹친 종이에도 옮겨가 수분이 증발하면서

굳는 원리를 알게 되자 "나 이거 몰랐어!"

연발하며 흥미로워 했어요.

 

 

"봐봐!

액체풀은 주름이 쉽게 생기고,

고형풀은 주름이 잘 안 생긴대.

액체풀은 수분이 많아서 주름이 진대."

제가 딴 데 볼까 봐 주의를 집중시켜

마저 설명해 주더라고요. ㅋㅋㅋ

어릴 때는 액체풀을 많이 썼었는데

정말 쭈글쭈글이 말도 못 했던 게 새록새록 기억나네요.

"고형풀 참 잘 만들었어!"

저도 한 마디 해봅니다. ㅋㅋ

 

 

규씨가 기억나는 장면 몇 가지를 더 소개해 줬는데요.

"낫토는 콩을 20시간이나 불리는 걸 알게 됐어.

이거 일본 전통음식이야."

 

 

"텔레비전 화면은 다 빨강, 초록, 파랑이래.

신기해."

Q. 이 책을 친구에게 소개해 줄 때 하고 싶은 말은?

"우리 집에서 과학을 찾을 수 있어서 재밌어.

읽어봐."

Q. 작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말은?

"어떻게 만들었어요?

이 책을 이렇게 똑똑하게?"

Q. 책을 덮는 순간 떠오르는 단어는?

"낫토! 누나가 맛없대.

마이크로파, 냉장고, 돋보기 군,

물 분자, 전자렌지, TV."

보통 한두 개의 단어만 말하고 끝났었는데

이 책에서는 기억나는 단어가 많았던 규씨예요.

 

 

학교 다니랴 학원 다니랴

과학에 관심 가질 시간도 없는 요즘 아이들에게

과학은 먼 곳에 있지 않고 우리의 생활 속에서

언제든지 호기심을 갖고 찾아볼 수 있다는 걸

알려줄 수 있는 책이었어요~

또 호기심 해결하러 출발~~

 

============================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