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새를 품었으니 동시만세
김현숙 지음, 김주경 그림 / 국민서관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규씨의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2학기 책을 보니 1단원 [소중한 책을 소개해요]에

이상교 시인의 '발가락'이 나오더라고요.

2단원에서도 시가 나오고요.

2학년 때는 동시 쓰기도 해보는 거 같던데

규씨에게 동시 쓰는 일이 스트레스가 아니라

재미있고 즐거운 시간으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제가 읽고 와하하하 크게 웃어버린

'참깨로'가 수록되어 있는 김현숙 시인

<아기 새를 품었으니> 동시집을

규씨에게도 소개해 주기로 했죠.

 

 

 

 

이 시가 바로 '참깨로'예요.

농촌의 참깨 말리는 풍경은 이렇겠구나~

마음이 넉넉~해지는 그림도 함께 보며

잔잔하게 시를 읽어내려갔죠.

 

와~~하하하

참깨와 도로명 주소의 콜라보라니!!

생각지도 못한 정말 참신한 발상에

혼자 읽다 크게 웃어버렸어요.

 

 

 

 

'참깨로'이외에도

팬지꽃 신발, 놀라지 마, 웅덩이,

인사, 오리보트, 거미집, 과일나무가 부른다 등

다양한 시가 수록되어 있어요.

 

 

 

 

"제 시를 읽고서

우리 주변 어디에고 있는 작은 존재들의

소중함을 생각해 준다면 좋겠어요."

- <아기 새를 품었으니> 시인의 말 中 -

 

김현숙 시인의 동시는

시 한 편을 읽을 때마다 계속 고개를 끄덕이며

새로운 관점의 접근에 놀라게 되더라고요.

수박이 익었는지 두드려 보는 걸

미리 알린다는 개념으로 접근했구나!

놀래서 입을 아! 하고 벌리고 있구만!

 

 

 

 

팬지꽃을 재활용품에 심으셨구나.

환경을 사랑하는 사람이었나 보네.

팬지꽃이 걷고 싶겠다고 생각하다니!

호오~~

짧은 시지만 내용이 압축되어 있어

부연 설명을 해준 듯한 느낌이었어요.

유쾌한 내용의 시도 있고

마음 따뜻해지는 시도 있었고요.

거창하지 않아도

어렵지 않아도 괜찮겠구나 싶었어요.

 

 

 

 

규씨에게 우리도 김현숙 시인처럼

우리 주변의 작은 것들로 동시를

써보는 건 어떠냐고 제안했더니

좋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아침 산책을 나가기로 최종 결정!!

이른 아침이라 그런지

사람도 없고, 공기도 상쾌하고 평온해서

이미 좋았어요.

길을 가다 멈춰 쭈그리고 앉은 규씨.

"이거 긁개 아니야??

가져가 볼까?"

좋은 소재 하나를 얻었어요.

 

 

 

 

 

돌을 시작으로

떨어진 댕강나무 꽃도 줍고

산수유 열매도 줍고

단풍잎도 주웠어요.

"난 산수유가 제일 좋아."

 

자연물을 좋아하는 아이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줍고 다녔어요.

공벌레도 만났고

어느 곳을 가도 귀뚜라미가 울었어요.

사람들이 없어서 마스크 잠깐 벗고

아침 공기도 마셨어요.

멀리 누군가 지나가자 "사람 온다."하며

금방 또 쓰더라고요. ㅠㅠ

휴...

마스크 쓰는 것에 익숙해지게 만들어서

미안해지는 아침이었어요...

 

 

 

 

자리를 잡고 앉아

규씨에게도 '참깨로' 시를 보여주었어요.

"참깨가 길을 다 차지하는 게 재밌어.

할아버지 차가 돌아서 간대.

나도 이 차 타보고 싶다."

엄마는 도로명 주소에서 재미를 찾았고

아들은 참깨를 피해 차가 돌아서 간다는

사실에서 재미를 느꼈어요.

실제로 참깨 말리는 농가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규씨에게 <아기 새를 품었으니> 동시들 중

소개해 주고 싶은 시가 있는지 물었어요.

규씨의 선택은

'과일나무가 부른다' 였어요.

 

 

 

 

"또 전화하신대.

홍시 나눠주고 싶어서.

가족이니까."

서울 사는 딸.

부산 사는 아들.

대구 사는 손주를 향한

할머니의 사랑과 그리움이 느껴졌어요.

규씨에게도 전달된 듯해요~

 

 

 

 

이제 오늘 주운 자연물들로

각자 시를 써보기로 했어요.

규씨는 제일 처음 주운 돌로 시를 쓰겠대요.

이미 정해졌다며 뚝뚝 써 내려갔어요.

틀린 맞춤법이 귀여워 웃음이 났지만

어린 시인에 대한 예의를 지키기 위해

꾸우욱! 참았어요.

하지만 시를 시조처럼 부를 땐

더이상 웃음을 참을 수 없었어요.

와~~ 엄지척을 해줬죠~

최근에 꿩 꿩 장 서방이라는

자진모리장단의 전래동요를 배웠는데

재밌었는지 본인이 지은 시 '돌'도

음을 넣어 부르더라고요.

이 응용 무엇??

새로운 규씨를 발견한 날이었어요.

<아기 새를 품었으니>를 통해

동시가 흥미로운 거란 걸 자연스럽게

알려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어요~

재미있다며 또 나와서 시를 쓰겠다니

다음엔 또 어떤 소재와 마주하게 될지

기대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