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의 지청구
공광규 지음, 연수 그림 / 바우솔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릇에 밥풀들이

더덕더덕.

소중한 한 톨을

두 손으로 조심히 들고

무언가 항의하는 농부들.

 

 

 

 

그들을 대변하는듯한

<할머니의 지청구>

 

 

 

 

지청구?

규씨도 저도 처음 듣는 단어인데요,

사전을 찾아보니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이래요.

꾸지람.

 

 

"밥알 하나 버리면

죄가 일곱 근 반이여!" 

 

 

 

아이는 말할 거예요.

할머니는 왜 꾸지람이실까?

거의 다 먹었고...

그저 밥풀 몇 톨 남긴 것뿐인데...

 

 

하지만 할머니는

사랑하는 손주가

농부들의 땀이 서린,

정성이 담긴,

쌀 한 톨 한 톨을

소중히 생각하길 바라셨을 거예요.

 

 

그래서

벼농사 과정을 알려주시죠.

 

 

이 과정을 공광규 시인이

 

시로 표현했는데

저 역시 숙연해지더라고요.

 

 

 

볍씨 싹 틔우는 농부의 땀

한 근

 

 싹 틔운 볍씨를 모판에 뿌리는 농부의 땀

한 근

 

모심는 농부의 땀

한 근

 

김매는 농부의 땀

한 근

.

.

(중략)

.

.

모두 일곱 근 반

맞지?

 

 

 

규씨에게 기억에 남는 문장을 물으니

"밥알 하나 버리면 죄가 일곱 근 반이여."

할머니가 지청구하신 이 부분이 기억에 남는대요.

너무 쉽게 밥을 남기는 규씨인지라...

좀 찔렸던 것 같아요.

 

 

 

 

점점 더워지고 여름이 오면

벼들이 부지런히 익어갈 텐데요.

 

 

여름을 지나 가을이 오는 페이지는

글이 없이 그림들로 채워져있어서

재밌는 상상력을 더하며 볼 수 있었어요.

 

 

Q. 기억나는 인물이 했던 일과 느낀점은?

☞규씨 : 얘가 한 그릇 싹 비웠을 때.

한 그릇 싹 비워야 하는구나.

교훈을 얻었지.

(가끔 애 늙으니 같은 말투에 웃음을 참지 못해요 ㅋㅋ)

 

 

 

규씨가 밥을 남길 때마다

음식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지금 식탁에까지 오는 소중한 거야.

남기지 말고 먹자~

이야기하지만...

사실 완벽한 빈 그릇을 만나긴 쉽지 않아요.

 

 

 

 

성장기 어린이니까... 하며

과하게 줬던 건 아닐까...

먹을 수 있을 만큼만 주자!

다짐한 저였어요~;;;

 

아이와 책을 통해 농사의 과정을 보며

농부의 고됨과 정성을 느끼고

반성하는 시간이 되었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아이와 책을 통해 농사의 과정을 보며

농부의 고됨과 정성을 느끼고

반성하는 시간이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