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바람 우리 작가 그림책 (다림)
김지연 지음 / 다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원도 일대를 강타한 산불이

발생된 지 1년이 됐어요.

축구장 면적 4000배 크기의

산림피해가 있었던 안타까운 사고였죠.

 

 

 

 

 

강원도 고성의 산불 이야기를 다룬

<백년 아이> 김지연 작가의 신작

<호랑이 바람> '우리 작가 그림책'의

창작 그림책이 출간되었어요.

이야기를 살펴볼게요.

 

 

 

 

 

"불이야! 불이야!"

어느 밤

나무들이 빽빽하게 우거진

'높은성'이라고 불리는

그곳에 불이 났어요.

 

 

 

 

 

 

아무리 작은 불씨라도

거센 호랑이 바람이 불어오니

무섭게 번져갔죠.

 

 

 

 

 

 

 

전남, 전북, 경북, 경남,

충남, 경기, 충북, 서울.

전국 방방곡곡에서 소방차들이

강원도의 산불을 끄기 위해 달려왔어요.

전 이 장면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구급차들이

줄지어 대구로 가던 장면이 떠올라서

괜히 울컥해지더라고요.

 

 

 

 

 

규씨는 소방차가 많은 이 장면이

제일 기억에 남는대요.

▶맘 : 소방차가 왜 이렇게 많이 왔을까?

▶규 : 불이 엄청 커서.

근데 왜 구급차가 한 대 밖에 없지?

궁금한 규씨였어요.

 

 

 

 

 

 

"나무가 쩍 고함을 질러요."

 

이 문장에 마음이 애려요.

말 못 하는 나무는 얼마나 뜨거웠을 거며

날지 못하는 아기 새는

얼마나 무서웠을까요...ㅠㅠ

 

 

 

 

 

빠르게 번지는 불이 무서워요.

마블링 기법으로 표현된 불은

더 리얼하게 느껴져요.

마블링 기법은

물과 기름이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한 건데,

예전에 SK이노베이션 광고에서

신기하게 봤던 기억이 있어요.

 

 

 

 

 

 

"높은성은 우리가 지킨다!"

숨통이 트이는 소방관의 등장!

▶규 : 소방관이 1명이었는데

3명으로 늘어나서 분신술 한 줄 알았어.

전 소방관을 2명으로 봤었는데;;

관찰력이 저보다 좋네요.

 

 

 

 

 

 

 

전국 각지에서 한달음에 달려온

소방관들 덕분에 불길은 잡혔어요.

하지만...

새까맣게 다 타버린 '높은성'

검은 재와 연기만 자욱할 뿐이죠...

얼마 전 뉴스에서

강원도 산불로 인해 소실된 산림의

복구율이 '제로'에 가깝다는

보도를 봤어요...

하룻밤에 사라진 숲을

다시 푸르게 만들려면

정말 어마어마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요.

 

 

 

 

 

산림청 자료에 의하면 회복하는데 2~30년,

토양 복구까지 100년 넘게 걸린다고 하니

한숨이 절로 나오네요...

아무리 작은 불씨라 하더라도

거센 바람에 날도 건조해서

피해가 더 심했던 것 같아요.

더 이상 이런 큰불이 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단속해서

소중한 우리의 산림을

보호해야겠어요.

 

 

 

규씨에게 책을 읽은 소감을 물어봤어요.

▶규 : 슬프다가 갑자기 기분이 좋아졌어.

▶맘 : 왜 슬펐어?

▶규 : 산이 다 타들어가고 불이 나서.

▶맘 : 다시 기분이 좋아진 이유는 뭐야~?

▶규 : 새싹도 다시 자라고 산이 푸릇푸릇

개미도 살고 벌레들도 많이 살고

풀도 자라고 사람들이 어디서 풀 뽑아와서

그 산에 심고 나무도 심어서 나무도 많이 자라고

........

엄마! 내가 설명해 준 적은 처음이지?

▶맘 :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응.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줘서

엄마가 놀랐어. (짝짝짝) 굿굿~!

소감을 물어보면 거의

'좋았어', '재밌었어'였는데

오늘은 소감이 엄청 길어서

제가 좀 놀란 표정을 하고 있었더니

규씨가 우쭐한 것 같더라고요.

다 타버린 줄만 알았는데

다시 푸릇한 '높은성'의 장면이 나오니

안심이 됐나 봐요.

"엄마는 규씨랑 책 읽고

이렇게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참 감사해~"

웃는 규씨 ㅋㅋㅋ

산불 재난 이후

새로 돋아나는 새싹처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아이와 함께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