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념연결 연산의 발견 1권 (초등 1학년) ㅣ 개념연결 연산의 발견
최수일.전국수학교사모임 개념연산팀 지음 / 비아에듀 / 2020년 1월
평점 :
3월에 입학 예정인 예비 초등 1학년 규씨.
코로나 바이러스 19번째 확진자까지 발생했고
유치원 졸업식도 취소되고...
입학식은 할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어요.
그래도 초등 수학 준비는 해야겠죠?
[개념 연결 연산의 발견]

어떤 문제를 만나도 풀 수 있는!
연산력, 사고력, 응용력!! 을 키워주는
연산 문제집인지 확인 들어갑니다~

현직 교사들이 집필한
국내 유일
연산 문제집이에요.
친절한 개념 설명은 기본이고,
요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문장제까지 만날 수 있어요.

"선생님 어떤 연산 문제집이 좋을까요?"
사실...
담임 선생님께 이런 거 못 물어보잖아요...
그런데 전국 수학교사 모임 개념 연산팀에서 만들었으니
선생님이 추천해주는 초등 연산 문제집이
[연산의 발견]이 아니고 뭐겠어요~
4년여 동안 국내외에서 출간된 문제집들을 분석하고
연구해서 출간되었어요.
탄탄한 기본기가 기대되는 초등 수학 문제집이에요.

지금 풀고 있는 책은 1권인데
50까지의 수까지 나와있어요.
2권은 100까지의 수 이후의 진도로 나가고요.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 진도와
연계가 잘 이루어져 있어요.
하루 두 쪽씩 풀면 적당하겠네요~
구성을 보면 크게 2가지로 나누어져 있어요.
<개념 익히기> <실전 문제>
■
① 개념 연결 > ② 배운 것을 기억해 볼까요? > ③ 30초 개념 > ④ 이런 방법도 있어요
■
① 개념 익히기 > ② 개념 다지기 > ③ 개념 키우기 > ④개념 다시 보기

왼쪽 페이지를 보면
4 단계에 걸쳐 개념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어요.
: 구체적인 문제와 문제의 연결
: 이전 학습 내용 확인.
: 개념의 핵심. 제목만 읽어봐도 개념 쏙쏙.
: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 제시.

오른쪽 페이지는 실전 문제 풀이 중
첫 번째 예요.
앞서 공부한 개념이 적용된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어요.
개념 익히기의 문제를 풀다 보면
연산의 기본기가 저절로 쌓일 거예요.

개념 익히기의 다음 단계인
두 번째
개념 익히기 보다 난이도가 약간 높아요.

개념 다지기 파트에는
손으로 수식을 직접 써 보는
★필산 문제들이 배치되어 있어요.
제 맘에 쏙~ 든 부분 중 하나인데요.
직접 써보며 계산을 해야 계산 경로가 파악이 돼서
실수가 줄어들기 때문이에요.
요즘 초등학생들은 학습지도 패드로 수업을 많이 해서 그런지
숫자를 바르게 쓰고, 식을 완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더라고요.ㅠㅠ

그리고 개념 다지기의 문제 번호를 보면
똑개(똑똑한 개념 연결) 캐릭터로 표시된 게 있어요.
선생님 놀이라고 해서
아이가 직접 설명하게 하는 문제예요.

책의 뒤쪽 정답과 풀이에
선생님 놀이 해설도 나와있어서
참고하시면 돼요.
물론 해설과 조금 달라도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했다면 딩동댕~

3 더하기 6이니까 9인데
무슨 설명을 하라는 거지...라고 생각하며
답지를 봤는데 그대로 쓰여있더라고요. ㅋ
사실...
반복 연산에 익숙해져 있는 아이들은
기계적으로 문제를 풀기 때문에
말로 설명하는 걸 힘들어하거든요.
이런 연습 좋아요~!!

세 번째
사고력 연산 파트죠.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다양한 상황이
서술형 문제로 수록되어 있어요.
요즘 초등 수학의 핫이슈. 그 문장제입니다.
뇌는 일상에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저장한대요.
그래서 [연산의 발견] 초등 연산 문제집이
생활 속 다양한 소재로 문제를 만든 거였어요.

네 번째
마지막으로 개념을 확인하며 내 것으로 만드는 파트예요.

개념 다시 보기 하단에는
도전해 보세요. 코너가 있는데
한 단계 더 나아간 심화 문제가 수록되어 있어요.
어려울 수 있지만 앞의 4 단계에서 개념을 확실히 익혔다면
사고력과 추론을 통해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생각해요.

개념 다시 보기 하단에는
도전해 보세요. 코너가 있는데
한 단계 더 나아간 심화 문제가 수록되어 있어요.
어려울 수 있지만 앞의 4 단계에서 개념을 확실히 익혔다면
사고력과 추론을 통해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생각해요.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연산만 너무 많이 반복해 수학을 암기과목처럼
접근하게 한다면 그 아이는 분명 수학을 싫어하게 될 거예요.
초등 교과서처럼
연산의 정확성과 다양성을 추구해
아이들이 수학=계산이라는 생각을 갖지 않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겠단
생각을 더욱 다지게 됐어요.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