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한의 한자 어휘 - 한자에 약한 요즘 어른을 위한
권승호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24년 12월
평점 :
<업체로 부터 제품을 지원 받아서 작성한 후기입니다.>
10대 였을때는 한자 교육이 정말 중요했어요. 어느 순간 한자 교육 부분이 조금 약해 졌던 때가 있었네요. 그사이에 끼어 있던 제가 살아보니 한자를 모르면 불편한 것들이 많다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이 어휘 부분에 어려움을 겪는 것도 요 부분이 안되어 있어서 더 한 거 같아요.
한자는 따로 공부를 조금 해서 그닥 힘들지는 않지만 가끔 햇갈리는 부분들이 나오는게 꾀 있어요.
그대로 성장한 성인들도 어휘력이 많이 떨어진다고 하더라구요.
우리나라에서 살면서 만나는 한자 최소한의 한자 어휘를 공부 할 수 있어서 더 좋은 책입니다.
좀 햇갈리는 단어들 특히 한자 어휘들!
양성반응 양성 종양이 다른 양을 쓴다 하지요!
양성반응은 화학적, 생물학적 검사를 한 결과 특정한 반응이 나타나는 일
반대는 음성반응 작거나 없는 성질
그런데 종양에서의 양성은 다른 뜻이에요. 양성 종양은 좋을 양을 써서 좋은 성질의 종양(착하고 순한 성질이라 치료가 쉬운 종양이라는 뜻이에요) 양성 종양과 반대로 생각할 수 있는 어휘는 악성 종양이지요.
그래서 같은 단어여도 한자가 다르기 때문에 쓰는 것이 다른 거지요.
승과 패도 같은 느낌 이지요.
승은 이겼다고 다들 아는 것이고 패는 실패 라는 단어로 쓰고 있는데 연패라는 말은 좀 다르지요 . 3연패 이건 운동 경기 따위에서 이어서 으뜸이 됨. 3번 연속 이겼다는 뜻이지요.
처음 연패는 싸움이나 경기에서 계속 하여 진다는 뜻이구요.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한자어와 다른 한자들이 많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하지 않아도 이렇게 한자어휘 책을 통해 익히는 것도 좋은 듯해요.
항년이라는 단어는 좀 어렵게 느껴 지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요.
향년은 누릴향이라서 죽을 때까지 누른 해라서 살아 계신 분들에게는 사용하지 않아요.
잘못 사용하면 안되는 단어지요.
정년은 관청이나 학교, 회사 따위에 근무하는 공무원이나 직원이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는 나이고 예년은 보통의 해, 평년이랑 비슷한 말이네요.
박애는 모든사람을 널리 사랑한다는 뜻과 박빙은 얇게 살짝 언 얼음, 근소한 차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에요.
햇갈리는 어휘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고관절도 그중 하나 인거 같아요. 고를 대부분 높을 고로 알고 있기에 고관절을 높은 관절? 로 넓적다리 고를 사용해요. 관절과 합성한 고관절인거지요.
저도 이제사야 무릎을 탁 친 역학조사! 거스를 역을 써서 거슬러 올라가 조사한다 라는 뜻이라 생각 했는데 그게 아닌 전염병 역을 사용해요.
부검은 해부하여 검사함을 말하고 생검은 생체검사를 줄여 이르는 것이고 검안은 뒤에 남은 흔적이나 상황을 조사하고 따지는 (원인, 시간, 장소따위) 일을 의미 하지요.
방역도 전염병을 미리 막는 다는 뜻이지요. 알듯 햇갈릴듯 한 한자어휘 한자에 약한 요즘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한자어휘를 통해서 어휘력을 늘려 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