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요에서 찾은 놀라운 과학 원리 ㅣ 지식 멘토 2
송은영 지음, 홍지혜 그림 / 개암나무 / 2017년 10월
평점 :
지식멘토
동요에서 찾은 놀라운 과학원리!

어릴때부터 많이 들었고 불렀던 동요
둥근해가 떴습니다.
작은별
고향의 봄
노을
눈
꼬부랑 할머니
텔레비전

둥근 해가 떴습니다.
천동설과 지동설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어요!
동요를 부를때마다 이런 생각은 못했는데!!
뜬다라는 의미!!
위쪽으로 솟아오른다는 뜻이죠!!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진다는 사실!!
뜨는 해는 떨어질까요?

하늘에 있는건 해, 별!!~ 모두 있지요.
고정되어 있는 별은 붙박이별
해와 달은 떠돌이별 이라고 합니다.

떠돌이별은 무엇인가요?
해,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이지요.
떠돌이별들은 같은 속도로 움직여야 해요.
이걸 아리스토텔레스가 해결했지요!
지구를 중심으로 우주를 돈다는 관점을 처동설이라고 해요.

고향의 봄 !
에서는 빛에 대해 가르쳐 주고 있어요.
복숭아꽃, 살구꽃, 진달래꽃 모두 비슷한 색 같지만 저마다 고유한 색을 뽑아내지요.
장미는 늘 빨강일까?
빛에 따라 색은 달라보이는 거지요!
꼬부랑 할머니에서 찾은 힘 절약의 비밀
할머니가 넘었다는 고갯길은 정확히 어떤길??
길게 이어진 산줄기 중간에 봉우리가 솟아오르는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 비탈길이지요.
직선길은 올라가기도 힘들고 내려가기도 힘든 길이지요!!
꼬불 꼬불 돌아서 고갯길을넘어가는게 더 편한길이라는것!!

재미난 이야기 같은
알쏭달쏭한 과학원리!!
명쾌하게 짚어 주는 든든한 과학 지식책이에요!!
교과단원에 해당되는 책이라 더더욱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지요.
둥근해가 떴습니다./텔레비전 - 천동설과 지동설 6학년 1학기
작은별 - 별의 밝기 5학년 1학기
고향의 봄 /노을 /꼬부랑 할머니 - 빛과 색의 원리 4학년 2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