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또 읽고
-
-
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예술 작품을 해석하는 일은 그 작품을 강간하는 것과 같다는 어느
예술가의 말처럼 책을 해석하는 일은 어쩌면 이에 버금가는 죄일지
도 모른다. 그러나 허접한 나의 재주나마 나의 개인적인 만족을 위
해 이렇게 글을 남긴다.
우선 학교에서 대여한 이 책은 무슨 센스로 말미암아 책의 제목을
바코드로 가리는 무지몽매한 심미안의 센스를 발휘하셨는지 차암...
답답하다. 그래도 이에 굴하지 않고 사진을 찍어 나의 정복점을 또
자랑할까 한다.ㅋ
프로이트와 융..유명한 정신 분석가들이다. 프로이트의 1900발표된
꿈의 해석은 우리의 세계인식에 또 다른 획을 그었다. 사람의 신경
증이 성적인 욕구에 기인한다. 이른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콤플렉
스는 칼 융이 처음 제안한 언어로 우리의 머릿속에 각인되다 싶이한
단어이다.
이 책은 추리 소설인가 하면 연애 소설도 같은 묘한 매력의 이국적
여성같다. 그래서 500쪽의 방대한 분량을 그리도 밤가는 줄 모르고
읽었을지도 모를일이다. 사람이 살아감에 사랑 이야기가 빠지면 정
말로 무료한 그림없는 책을 영원히 읽는 것 같은 느낌일 것이다.
그것이 플라토닉 러브든 아니면 에로스적인 사랑이든 아니면 뒤틀
린 새디즘 마조히즘의 사랑이든..사랑에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 이
것이 옳다하고 난 정의하지 않는다. 개인적인 취향이므로 ㅡㅡ;
책은 20C 미쿡의 번화한 뉴욕을 배경으로 범인이 접근하기 힘든
럭셔리한 사교계와 우수한 혈통과 돈 많은 부자들의 모습과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마천루 속에서 인간의 어두운 면인 욕망의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 사람들에게 내미는 이성적인 카드
와 그리고 내 내면에 자리잡은 절대로 보여줄 수 없는 그리고 보여
줘서는 아니되는 욕망의 카드를 보았다. 누구나 그러하겠지만 그 욕
망의 카드를 보여주고 인정하는 순간 우리는 욕망의 수호천사가 된
다. 바로 범죄라는 이름으로..
인간이 가진 욕망 중 가장 강한 욕망인 성욕. 기독교적 세계관의 도
래로 말미암아 우리는 금욕적인 성을 강요받았고, 그 욕구들은 우
리의 내면에서 수 세기 동안 어둡게 뒤틀리고 이른바 야동과 야사라
는 모습으로 표현 작금의 무서운 현실에 투영되고 있다.
규제가 아닌 인정을 통하고 건강하고 욕망을 통제하고 적절히 표출
함으로 우리는 더 진화할 수 있는게 아닌가 나의 사견을 부언한다.
이 책은 지적인 여행을 나에게 제공했고, 내가 어떤 욕망을 가진지
한 번 돌이켜 볼 기회를 제공한 책이다. 책장을 넘길 때마다 다음이
궁금해지게 하였고, 마지막장을 덮었을 때는 한 번 더 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하였다.
또 한 가지의 읽을 거리는 to be or not to be의 작가의 재해석이 있
는데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잘 몰라 이해하는데 어려웠고 지금도 솔
직히 먼 말인지 잘 모르겠다. 난 범인이라서 ㅎㅎ;
그대로 있을 것인가 아니면 가장할 것인가의 문제. 현실에 족할 거
인가 아니면 현실과 타협해 나의 모습을 가장하고 나의 목적을 이룰
것 인가? 어렵다..
지적인 갈증에 목마른 독자가 있다면 살인의 해석을 권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