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심리치료사입니다
메리 파이퍼 지음, 안진희 옮김 / 위고 / 2019년 4월
평점 :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지는 책이다.‘
상투적인 말이라고 생각했다. 당연했다. 경험해 본 적이 없기에.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무슨 말인지 직접 느껴볼 수 있었다. 심리치료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이 등장하는 책은 아니다. 메리의 사소한 일화와 경험이 모여 만들어진 책이다. 그래서 더 위로받았는지도 모른다. 때로는 도로 위에 피어난 가녀린 꽃이 삶의 찬란을 보여주듯 이 책은 빌딩 속 작은 정원처럼 소소한 행복을 가져다주었다. 현실에 지쳐 조용하고 담담한 글을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이상하게 햇빛도, 바다도 아닌 글 속에서 휴식을 얻게 되는 책이다.
책은 심리치료사 ‘메리 파이퍼‘가 심리치료사를 지망하는 ‘로라‘에게 쓴 편지가 모여 만들어졌다. 편지라고 간단하고 편안한 내용들만 있는 건 아니다. 심리치료사라는 직업의 무게와 책임,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담고 있다. 심리치료의 본질은 무엇인가?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요법? 한 마디면 끝나는 치료? 메리는 심리치료의 다양한 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인가에 집중한다. 내담자의 치료도 마찬가지다. 메리의 심리 치료의 시작은 내담자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찾는 것이다. 내담자의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고, 추론하며 내담자의 내면과 더불어 외면을 되돌아본 후 내담자 자신에게 말한다.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요. 하지만 행복해지기 위해 당신 스스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어요.˝
자신의 직업을 사랑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심리치료사처럼 사람들과의 대면을 주로 하는 직업에서는 더더욱 힘든 일이다. 학문을 떠나 실전에 맞닥뜨렸을 때, 애정은 공포로 다가오기 쉽다. 메리는 자신의 경험 속에서 사람들을 사랑하는 방법을 찾았고, 사람의 감정에 귀 기울이는 방법을 찾았다. 끝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고, 심리치료사는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았다. 다가오는 공포를 자신만의 사랑으로 소화해낸 메리. 수많은 시도와 좌절 끝에 잔잔한 호수 같은 사람이 된 사람.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이런 게 아닐까. 누군가에게 건네는 말은 실로 자기 자신에게 건네는 말이라는 것.
p.19 심리치료사로 일하며 체득한 교훈 중 하나는 재미라는 것이 결코 사소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p.39 존중이 상호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무시 또한 상호적입니다. 만약 사람들에 대한 당신의 기본 감정이 긍정적이지 않다면 심리치료는 당신에게 적합한 일이 아닙니다.
p.80 상황을 재구성하면 변화가 촉진됩니다. 만약 어떤 어머니와 딸이 항상 싸움을 벌인다면 이렇게 얘기해줄 수도 있습니다. "두 사람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위해서 항상 노력하는 것처럼 보이는군요." 고집이 센 아이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인내력은 적절하게 사용하기만 한다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p.81 로라, 당신 자신의 감정에 주의 깊게 관심을 기울이고 그 감정들을 상담 시간에 이용하세요. 당신이 내담자에게 보이는 반응은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보이는 반응과 같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