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찬기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잼. 로테랑 연애를 한 것도 아니고 혼자 좋아 죽다가 진짜로 죽음. 로떼 입장에선 황당할 사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장소, 환대 현대의 지성 159
김현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隨處作主(수처작주). "가는 곳마다 주인공이 되어라" 하는 불교 경전의 말씀이 있다. "주인공은 나야나" 이런 식으로 관심받고 사랑받는 존재로 살라는 게 아니라 세상의 기준, 허세적 역할 놀이 등에 휘둘리지 말고 자기 삶의 중심을 잘 잡고 살라는 뜻으로 이해했다. "진정한 자아"를 찾는게 아니라"무아"의 원리에 충실한, 네가 서 있는 그 곳에서 스스로 주인이 되라는 말씀이 울림이었다.
이게 개념적 이해 였다면 실질적으로 그래서 어떻게 주인공이 될거냐 한다면 이 책〈사람, 장소, 환대〉가 답을 주었다. 내가 노력하고 발버둥쳐 주인공이 될수 있나? 하는 의문이 들었다면 거기에 필요한게 상대방의 "환대"였다. 나도 누군가가 그가 있는 곳에서 주인공이 되도록 환대해야하고 나도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 수 있도록 환대받아야 한다. 혼자 주인공이 되는 게 아니라 누군가의 환대로 가능하다. 이것이 사회를 이루는 기초이다. 수처작주에 대한 답으로 환대를 얻은 유익한 책이었다.(가정이 사회적 기초가 아니다. 가부장제 가정에서 여성의 자리 없음을 폭로 하는 것도 이 논리로 가능)
어떤 만물이 그가 가진 정체성이 아니라 나와의 관계를 통해 그의 '주인공'성을 얻는다면 우리는 말뿐인 동정과 기부 사랑 따위 좋은 말을 구별해 낼수 있을 것 같다. 말만 성찬인 곳에서 쓰러지고 끼이고 떨어지고 쫓겨나 주인공은 커녕 지푸라기처럼 사라지는 만물이 많은 요즘 시절엔 그런걸 가려 내야 한다. 회장님은 기부금 칭송받고 회장님의 자본이윤을 창출한 노동자들은 안전장치가 없어 죽음이라니. 그 기부를 칭송 할 때인가? 나는 모르겠다.
내가 주인공이려면 남을 주인공 대접해라. 너도 누군가의 환대로 주인공이 되었으니! 누구나 환대받아야만 하는 것이니 내가받아 너에게 주는게 아니라 무조건적 환대다. 멋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을 비추는 열 개의 거울 - 광화문 소설클럽 리뷰집
광화문 소설클럽 지음 / 책봇에디스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적인 삶을 꿈꾸는 제인. 생명의 은인이 청혼한걸 거절하는 꿋꿋한 제인. 자기가 선택한 사랑으로 걸어가는 제인. 제인이야말로 신데렐라를 뛰어넘는 딸들의 롤모델이 될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리커버 특별판)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과 함께 읽어야 할 책으로 <함락된 도시의 여자>를 추천한다.
독소전쟁에 대해 알지 못하는 사람들, 2차 세계 전쟁을 다른 각도로 보고 싶은 사람들은 <함락된 도시의 여자>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는다>이 두 책을 꼭 봐야 한다.
독일군을 막아내기 위해 소련군에 자원한 여성들과 그 소련군들이 함락시킨 베를린에 남겨진 여자들. 침략자와 남겨진 자들의 입장이 뫼비우스의 띄처럼 맞물려 있다.
신념에 가득 찬 전쟁이 얼마나 잔인하고 끔찍한지, 그리고 그 전쟁에 가담한 사람들 자체에 얼마나 큰 해를 끼치는지 알 수 있는 책. 여성의 언어로 말해진 전쟁 기록엔 그 어디에도 승리자가 없다. 공훈도 없고 명예도, 훈장도 없다. 그냥 파괴 뿐. 그토록 해로운 것이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페스트 열린책들 세계문학 229
알베르 카뮈 지음, 최윤주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면서부터 예방주사를 맞고 자란 세대라 전염병이라고는 "수족구"나 "수두" 말고는 아는 게 없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역병"이란 걸 제대로 체험한 것 같다.
코로나 이후는 이전과 다를 것이라 한다. <페스트>의 이 문장이 그걸 말해주는 것 같다.
"차라리 지진이라면 한번 크게 무너지고 나면 더이상 이런저런 말할 필요가 없잖아요. 죽은 사람, 산 사람. 수를 세고 나면 그것으로 할일은 다 한 것이니 말입니다. 한데 몹쓸 전염병이라뇨! 전염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도 마음 한구석에 그걸 달고 사는 겝니다."

마음 한 구석에 자발적 가택 연금과도 같은 상태를 당했던 이 때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인간이 만든 병 아닌가. 너무 돌아다니고 너무 먹어대고 너무 써대다가 결국 자기 집에 갇혀서 한발짝도 못나가게 돼버린 매우 역설적인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아마도 그게 코로나가 남긴 숙제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