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감나무는 알고 있어 행복한 책꽂이 12
이상배 지음, 강화경 그림 / 키다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아빠와 떨어져 살게 된 지호가 어른들 손에 의해 억지로 굳건함이나 성장을 강요당하지 않아서 좋다. 작가의 시선은 아주 따뜻했다. 지호는 낯선 시골에 있지만 복덩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아빠의 어린 시절을 알고 있는 콩감나무를 통해 어린 아빠와 함께 지호 자신도 성장한다. 정말 멋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콩감나무는 알고 있어 행복한 책꽂이 12
이상배 지음, 강화경 그림 / 키다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콩감나무' 제목부터 낯설고 호기심 가는 책이다.

콩감나무가 뭐냐고 묻는데 알 수 없었다.

책을 먼저 읽은 단단이가 콩감나무가 고욤나무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원치 않게 엄마 아빠와 떨어져 살게 된 지호가 게임기도 없고, 햄버거, 피자도 구경하기 힘든

시골에 와서 살게 되면서 처음 만나게 되는 친구가 바로 콩감나무다.

지호가 도시에 살았다면 만날 수 없었던 친구일 것이다.

콩감나무는 할아버지의 어린 시절에도 있었고, 아버지의 어린시절에도 있었다.

지호가 마음의 문을 열고 콩감나무와 친구가 되면서 콩감나무는 지호에게 많은 것을 들려주고,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

콩감나무 덕분에 지호는 나무도 탈 수 있게 되었고, 생명의 소중함도 알게 된다. 온몸이 흠뻑 젖으면서 나약하고 가녀린 열쭝이를 콩감나무 둥지 위로 올려주는 모습에서 지호는 더 이상 나약하지 않았다. 엄마 아빠가 보고 싶어 콩감나무에 오르던 지호가 아니라 더 넓은 세상을 보고 품을 수 있는 아이로 성장해가는 모습이 잘 담겨 있는 따뜻한 동화였다.^^

단단이한테 너에게도 콩감나무 같은 존재가 있냐고 물으니 고개를 갸웃했다. 그러더니 돼지 인형을 가져나왔다. 아기 때 항상 같이 자던 돼지 베개 인형이었다.

아파트 단지 안에서 사는 요즘 아이들이 콩감나무 같은 존재를 찾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무언가 콩감나무처럼 아이들을 성장시켜 줄 좋은 매개체를 하나씩 찾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사성어 숨은그림찾기 숨은그림찾기 (좋은꿈) 2
유영진 지음, 이주희 그림 / 좋은꿈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사성어 어원의 유래가 나와 있는 책이네요!
일거양득에도 어원 이야기가 있고, 순망치한, 노마지지, 지록위마 등등 모두 어원 이야기라 실감나요!
읽기 편하고 역사를 같이 배울 수 있어요, 숨은그림찾기도 짱이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사성어 숨은그림찾기 숨은그림찾기 (좋은꿈) 2
유영진 지음, 이주희 그림 / 좋은꿈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학기간 동안 쉽고 재미있게 고사성어 익히기 딱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도세자의 슬픔 - 이규희 역사동화 좋은꿈어린이 7
이규희 지음, 이수현 그림 / 좋은꿈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왜 아들을 뒤주에 가뒀을까?
어떻게 아들을 죽게 내버려둘 수 있지?
사도세자하면 떠오르는 생각들이었다. 아이들도 마찬가지 물음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사도세자의 슬픔>은 이런 물음들에 대한 이야기다.
아들을 죽인 영조는 무자비한 아버지가 아니었다. 아버지에 의해 죽음을 맞은 사도세자 선 또한 죽임을 당해 마땅한 불초한 자식이 아니었다.
<사도세자의 슬픔>은 딱딱한 역사책이 아니다. 내가 궁금해 했던 물음들에 작가는 친절한 이야기로 그 당시 상황과 인물들의 감정을 풀어냈다.
요즘 영화 사도가 인기를 끌면서 사도세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영화를 보고 어린 시절 사도의 모습이 궁금했는데 이 책은 그 궁금증을 풀어주었다.
나같은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가족과 함께 이 책을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10월 3~4일 주말 동안 '2015 정조 효 문화제'가 용주사와 융건릉 일대에서 열린다.
<사도세자의 슬픔>을 읽고 사도세자가 묻힌 융릉과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가 묻힌 건릉까지 가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