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노피에 매달린 말들 - 톨게이트 투쟁 그 후, 불안정노동의 실제
기선 외 지음, 치명타 그림, 전주희 해제 / 한겨레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년 6월 30일, 서울 톨게이트 캐노피에 42인의 노동자들이 '기만적인 자회사 전환 거부, 직접 고용 쟁취'를 외치며 올라섰다.

8p


<캐노피에 매달린 말들>은 톨게이트 비정규직 노동자들 (1,500여명)이 국가를 향해 직접고용을 요구한 투쟁의 기록이다. 7개월 동안의 투쟁은 힘들었지만 그래도 많은 연대와 지지를 힘입어 대법 판결에서 이기고 직접 고용되어 다시 일터로 복직하게 되었다.

겉으로 보기에 모든게 해결되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전히 열악한 처우와 불안정한 노동환경 속에서 그들은 계속해서 싸우고 있다. (정규직이 됐지만 하는 일들이 일 같지 않고 동료들에게는 뜨거운 감자로 여겨짐)

무한경쟁 속에서 뒤쳐지면 (자격이나 능력이 없으면) 몸과 관계의 허기정도는 '감내'해야 하는게 당연한 사회분위기가 되었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임금 중간 착복 같은 문제는 쉽게 개인의 탓으로 돌려진다. 노동을 지켜줄 법과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에 주 노동자가 중장년 여성이기에 사회 안에서 그녀들의 좁은 입지 문제가 함께 이슈화된다.

여성이 주로 하는 노동은 그렇게 중요하거나 핵심적인 업무로 인식되지 않으며 저평가되기 쉽고, 이는 여성의 일자리를 저임금에 기간제/한시적 형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정당화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은 하청 구조로 인해 더 심화되고 고착화된다. 그렇다 보니 여성의 일자리는 비정규직에 간접고용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유로 경력이 중단된 중년 여성이 노동시장에 다시 집입하려고 할 때, 접근할 수 있는 일자리는 대부분 불안정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남성보다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이 빠르게 늘어난다는 조사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보여준다.

<2022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_여성가족부,2022 _47p

때문에 톨게이트 수납 업무가 '아줌마들에게는 좋은 일자리'가 되는 것이고, 톨게이트 영업소의 용역 업체들이 (아웃소싱 회사) 그녀들을 착취하기 용이한 구조로 만들었다.

계속해서 쌓이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니 약자들끼리 연대하고 투쟁하기 시작한다. 이 투쟁의 역사에 몸 담았던 인물들을 인터뷰하여 구술기록 형태로 잘 묶어 책으로 낸 것이다.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노동자 (한부모 가정, 장애여성, 북한 이탈주민, 경력단절자 등) 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한가지 사건에 대해 다각도로 사유할 수 있게 만든다.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지 않고 다양한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보게 하는 힘은 문제의 대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언제나 모든 사회 문제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오는 것일 텐데, 법과 제도, 언론이 내놓은 기사는 너무 납작하다. 시대의 흐름에 법과 제도가 너무 뒤쳐지다 못해 요즘은 퇴보하고 있어 걱정이다.

노동자들이 걸어온 투쟁의 경로를 누구는 그저 허공에 외치는 목소리일뿐 귀기울일 가치가 없다고 외면하고 회피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소리는 단순히 톨게이트 노동자와 도로공사의 싸움이 아니라 사회와 개인의 문제, 기업과 모든 노동자들의 문제로 같이 볼 수 있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모든 개인은 느슨하지만 촘촘하게 연결 되어 있고, 사회라는 울타리 안에서 어떻게든 살아내야 하기에 이것은 끊임없이 생각하고, 토론하고, 답을 찾아가야 하는 모두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포기하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