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봄
조선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안에 담긴 것들이 완성도 높은 구성으로 꽉 차여있다. 소설보다는 다큐를 본 느낌. 그렇다고 딱딱하지는 않고 오히려 문장에 쓰는 단어의 조합이 새롭고 참신했다.

작가가 지난해 대선 이후 쌓인 스트레스를 지식인으로서 뭐라도 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해서 자신의 생각을 소설을 통해 직접적으로 강하게 설정하고 있다. 만약 이야기에 자신의 정치적인 스트레스를 쏟아 붓기만 했으면 몇 페이지만 읽다 덮었을텐데, 여기에 평범하지만 문제가 다 있는 모두가 공감하는 가족과 세대의 이슈를 담고, 지금 부모가 된 내가 이후의 노년이 되어 자녀들을 바라보는데 필요한 문제들까지 담아내었다. 이건 뭐 이후 세대가 과거 당시대를 너무나 잘 반영하는 사회,정치적 소설로 꼽을 만한 작품이다.

<그리고 봄>은 대통령선거 이후 1년을 배경으로 한 4인 가족을 바라보고 있다. 이 가족의 특징은 부모가 정치적으로 예민하여 정치 얘기만 나온다하면 금방 대화의 온도가 가파르게 올라간다는 점이다.

이야기의 전개는 가족 구성원이 한 명씩 돌아가면서 화자가 되어 말한다. 처음엔 엄마, 다음은 딸, 아들, 그리고 아버지. 피붙이고 한 가족이지만 타인보다도 모를 수 있는게 가족인데, 이게 식구 수가 많을수록 더 제각각인 법이다.

엄마 정희는 2년전 기타를 들고 가출한 아들과 갑작스러운 결혼 발표에 국제결혼에 커밍아웃까지 동시에 터트려버린 딸 하민 때문에 머리가 아프다. 도대체 뭐가 문제인건지, 어디서부터 잘못된건지 혼란스럽고 당황스럽기만하다. 하지만 아이들은 더 이상 어떤 문제도 부모와 상의하지 않고 스스로 결정하며 통보할 뿐이다. 여기서 부모로서의 얼굴은 두가지뿐이다. 놀람과 슬픔. 자녀들의 고민 사이 사이에 부모의 역할이 비집고 들 틈은 이제 완전히 사라진 것이다.

이 책을 20대가 읽는다면 하민과 동민의 시각에서 볼 것이고, 나 같은 자녀가 있는 30, 40대부터는 부모인 정희와 영한의 시각에서 볼 것이다. 세대의 격차와 사고를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어 모두가 공감하고 서로의 생각을 마주할 수 있는 다면적인 소설이라 하겠다.

가장 작은 사회 단위인 가족의 분열을 통해 현 사회와 정치에 대해 비판한 것 같다. 그리고 이 후에 고름이 터지고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 정치적인 문제도 나아지길 바라는 작가의 소망도 담겨있는 듯 하다. 이 소망을 담기위해 소설의 형태를 사용했나보다.

그리고 이 말을 하기 위해 작가는 하얀 백지에 아주 굵은 직선으로 망설임 없고 쭉쭉 그어놓은 것 같다. 나 같은 경우는 깊이 동감하고 끝에 가서는 마음도 시원해졌다.

작가의 전작인 <세 여자>도 읽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