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
신다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가 쌓여 삶을 이루는데, 그 하루의 대부분은 돈을 버는 '일'이 차지한다. 그래서 좋은 일을 해야하는 것인데, 산재사고를 볼 때마다 거꾸로 뒤집어진 세상을 보는 듯하다. 한 사람의 생명이 일을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

'왜 계속해서 일터에서 사람이 죽는 것일까.' 기업들은 일하다 사람이 죽었는데 사고 현장을 마음대로 훼손하고, 피해 노동자 개인의 실수라고 오히려 뒤집어 씌운다. 아니 그렇게 당당하면 현장은 왜 훼손하는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하는 일터에서 '노동자는 자연스럽게 죽는다'라는 말을 하는 기업의 행태가 너무나 부자연스럽고 기업의 이익과 자본 축척을 위해서는 죽음도 감수해야 한다는 말처럼 들려서 거북스럽다. 이 책은 지금 한국사회에서 이유를 알지 못하는 죽음을 당하는 수많은 노동자들을 위해 쓴 책이다.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는 많은 산재중에서도 '사고 산재'에 집중한 책이다. 대부분의 예시도 제조업 일터의 산재를 들었다. 1부는 2021년 평택항에서 죽은 20대 노동자 이선호씨 사고를 다룬다. 아들과 함께 일했던 아버지는 안전을 방치한 기업때문에 사고 현장에서 자는 듯이 엎드려 죽은 아들을 보게 된다. 안전관리자 한 사람만 있었어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는데, 10만원(안전관리자 일당) 아낀다고 자신의 아들이 죽은 것이다. 다행히 선호 씨 죽음의 구조적 원인을 증언할 수 있는 아버지가 있어서 이 사건은 언론에 보도화되고 공론화되기 쉬웠다.

이선호씨의 사건과 더불어 2부에서 보여지는 여러 제조업 산재 사망 사고를 보다보면 산재의 원인이 노동자의 실수보다는 여러 사회적 분위기와 기업의 구조적인 문제로 더 심화되는 듯 보인다. 산재사고에 많은 정보가 드러나지 않는 언론구조의 문제도 있다.

여기서 '구조'란 노동자 개개인의 성향을 넘어서는 견고한 체계다.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쏠리는 위험한 작업, 원-하청의 번거로운 소통, 2일 1조 원칙을 무시하는 관행 등이 산재를 유발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71p

이 견고한 구조체계는 결국 예방은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라고 말한다. 마치 돈에 미친 나라에 사는 듯한 기분이 들 정도로 한 노동자의 죽음을 바라보는 입장들이 너무나 한결같아 소름이 끼친다. 기업의 기만과 마치 죽음을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다는 듯한 나라, 깊이 탐색하기보다 단신 보도에만 바빴던 언론 등 또렷한 답 없이 길을 헤메고 있는 느낌이 들지만 사실 어떤 방법보다도 이 책을 통해 산재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결국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그만이지만, 공장 안의 사고가 우리의 이야기가 될 때 앞서 문제가 됐던 잘못된 구조체계에 조금씩이나마 금이 갈 것이고 느리더라도 천천히 변화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것을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자꾸 들여다보며 왜를 물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