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맛집 산책 - 식민지 시대 소설로 만나는 경성의 줄 서는 식당들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민지 시대 서울을 가리키는 옛날의 용어 '경성'과 현대에 와서 불리고 있는 '맛집'이라는 신조어가 섞인 제목의 책 <경성 맛집 산책>은 확실히 낯선 주제다. 드라마나 소설 속에서 등장하는 조선의 식당과 당시에 유행하던 음식들이 보이면 맛이나 실내분위기가 어떨지 상상해 보곤했는데, 많은 자료를 이용해 생생히 복원한 이 책을 통해 많은 궁굼증이 풀렸다.

저자가 수록한 당시 조선 음식점들은 외식 메뉴가 자리잡고 번성하던 시기(1920-1930)에 맛집으로 유명하던 곳들이다. 왜 경성의 맛집인가 하면, 이것이 근래의 외식정착과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저자 박현수 교수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음식문학 연구가'로 알려진 분이다. 전작들도 보면 <경성 맛집 산책>처럼 방대한 자료를 집대성해서 복원한 느낌이다. 얼마나 많은 사전조사와 자료들을 분석하고 정리했을지 감탄스러웠다.

<경성 맛집 산책>은 총 3부로 구성 되어 있다. 1부에서는 본정(식민지 시대 경성에서 가장 번화한 곳)에 위치했던 네 곳의 음식점을 구경할 수 있다. 고급스런 코스요리의 메뉴와 과일디저트 카페도 볼 수 있다. 2부에서는 종로에 자리 잡았던 세곳의 맛집을 본다. 여기서 나오는 '이문식당'은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 무려 100년이 넘는 시간을 통과해 낸 음식인 것이다. 3부에서는 장곡 천정에 위치한 '조선호텔 식당'의 정통 프랑스식 코스 요리를 맛볼 수 있다.




'맛'으로 유명했던 과거의 식당들을 복원하기 위해 사실적인 자료들을 제시하고 설명하느라 읽기가 좀 딱딱할 수도 있겠다 싶지만, 저자는 똑똑하게도 경성 맛집의 풍경을 생생히 묘사하기 위해 당시의 여러 소설의 도움을 받는다. 소설 속 삽화들이 박물관의 실사진과 겹쳐지면서 더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같다.


앞부분에 수록된 일러스트 '경성 맛집 지도'를 살펴보면 한 곳에 치우치거나 메뉴가 중복되는 식당은 피해 골고루 소개했다. 경성 곳곳의 식당들을 다양하게 돌아볼 수 있는 것도 큰 특징이다.


음식도 유행을 타고 시대가 바뀌면 사라지기도 하고 고유의 것이 다른 맛으로 완전히 변형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은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적 취향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문 식당처럼 잊혀지지 않고 지금까지도 남았는 것을 보면 맛의 기억은 충분히 연구되고 기록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