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스 평전 - 현대 중국의 개척자
조너선 펜비 지음, 노만수 옮김 / 민음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중국사


사실 마오쩌둥이라면 몰라도 장제스란 인물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다. 내게 장제스는 역사의 패배자, 잔악한 독재자, 무능하고 부패한 정부의 지도자였다. 하지만 드문드문 주워들은 단편적인 정보로만 알뿐 장제스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던 차에 마침 이 책이 나오고 호기심이 생겨 읽게 되었다. 최근 위화의 소설들을 읽으며 중국에 대해 알고 싶어진 것도 하나의 이유다. <장제스 평전>은 20세기 전반 중국사의 압축이나 다름없다. 그만큼 장제스는 중국 역사의 핵심에 선 인물이었다. 쑨원과의 활동, 군벌들과의 투쟁, 공산당 토벌, 일본과의 전쟁, 세계 대전, 또 한차례의 내전과 마지막 패배까지 수십 년의 격동이 그를 들러싸고 숨 쉴 틈 없이 전개된다. 전쟁과 세력 다툼, 권력 투쟁이 끊임없이 이어지니 <초한지>나 <삼국지>를 읽는 듯 재밌을 수밖에 없는 책이다. 하지만 수많은 전쟁에 휘말려 삶의 기반을 잃고 굶주려 죽고 학살당하는 '보통 사람들'을 생각하면 영웅담이나 소설과는 다른 '현실'을 깨닫게 된다.



오로지 권력을 향해


장제스를 단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권력 지향형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장제스는 중국을 전통적 가정으로 상정하고 스스로를 가부장으로, 인민을 보살펴야 할 자식으로 여겼다. 이때 자신의 권위는 결코 도전을 받아서는 안 됐다. 그는 능력과 성과 대신 충성과 복종을 토대로 아랫사람을 평가했고 자신의 정치적 권위를 최우선에 두고 모든 정책을 펼쳤다. 심지어 항일전쟁에서도 경쟁 세력이나 공산당을 일본보다 더 경계하는 데 전심을 기울였다. 결국 장제스는 중국 대륙을 잃었지만 살아남아 타이완에서도 최고 권력자로 끝까지 남을 수 있었다. 권력과 생존은 그의 지상 과제이자 유일한 정치 기술로 보인다. 장제스에게는 중국을 어떤 나라로 만들겠다는 비전이 거의 없었다. 보수적인 도덕과 검소, 청결을 강조하며 신생활운동을 내세우지만 허울뿐이다. 술과 도박 그리고 여성의 치마 길이를 규제하는 대목에서는 한국의 독재 정권 시절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럼에도 저자는 장제스가 거대한 중국을 한데 묶고 짧게나마 근대화를 이루어 낸 점만은 재평가한다. 모든 과오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렇지만 장제스에 대한 내 생각은 돌고 돌아 독서 전의 지점에 도달했다. 결국은 패배자이자 독재자. 하지만 오늘날 중국을 설명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



장쉐량에 대하여


책을 읽으며 오히려 인상 깊었던 것은 장쉐량의 파란만장한 인생이다. 일본의 사주로 아버지 장쭤린을 잃고 만주의 영토도 빼앗기고 장제스 수하에 들어간 청년 장군. 시안 사건을 일으켜 국공 합작을 이뤄 내지만 그 대가로 여생 거의 전부를 갇혀 지낸다. 장제스가 그를 잊지 않고 타이완까지 데려갔다고 하니 원한이 얼마나 컸는지를 알 수 있다. 그래도 죽이지 않고 끝까지 살려 뒀다는 점이 신기하다. 어쩌면 어느 한편이 죽을 때까지 그 사건을 평생 잊지 않겠다는 뜻일지도 모르겠다. 장쉐량은 시안 사건 직전 빈사 상태였던 공산당에게는 구국의 결단을 한 영웅으로, 반대로 국민당과 장제스에게는 잊지 못할 배신자로 평가받으며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야말로 한 편의 소설 같은 삶이다. 한편 천수를 누리다 2001년 하와이에서 죽은 장쉐량과 관련해 이런 농담도 있다고 한다.


- 술과 담배를 멀리한 린뱌오는 60대에 죽었고, 담배를 멀리하고 술만 즐긴 저우언라이는 70대에 죽었고, 술은 멀리하고 담배만 즐긴 마오쩌둥은 80대에 죽었으며, 술과 담배를 모두 즐긴 덩샤오핑은 90대에 죽었다. 하지만 술과 담배는 물론이고 여자까지 즐긴 장쉐량은 100세까지 살았다.(심지어 마약도 오래 했다.)



인상 깊은 구절


장제스의 이상 속에서 중국은 언제나 전통적인 가정으로, 중국의 사회는 그 위에 세워져야 했다. 4억 8000만의 아이들은 마땅히 아버지의 초상을 공경하고 우러러보며 그 가르침들을 따르고, 제멋대로인 공산주의자 아들의 악영향을 제거하며, 더불어 공격적인 일본인 이웃이 끼친 손상을 회복하여 무궁무진한 불굴의 정신을 보여 주어야만 했다. 가부장은 반드시 사랑받을 필요는 없지만, 국가를 구원하는 상징으로서 존경을 받아야 했다.
(284쪽)


그 이전의 황제와 그 이후의 공산당 영수 덩샤오핑처럼, 장제스는 안정과 질서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정치적 다양화에 적대적이었다. 민주주의는 “온 나라에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배척되었다. [중략] 장제스의 한 충신이 말한 바대로, 외국의 침략과 봉건주의의 지속은 이 나라에 일종의 “중국식 독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285쪽)


“나는 총사령관이다. 나는 결코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나는 중국이다. 중국은 나 없이는 아무것도 이뤄 낼 수 없다.”
(312쪽)


“지난 세월을 헛되이 보냈다. 치욕과 패배를 맛보았다. 하지만 나는 괴로워하지도, 노하지도, 자만하지도 않을 참이다.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양심에 부끄러운 바가 없다. 여호와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나에게 어찌 행운이 가득하지 않겠는가? 위험과 고난이 앞에 가로놓여 있다. 더욱 스스로를 경계하여야 중화 민족을 부흥하고 중화민국을 재건할 수 있을 터이다.
(609쪽)


장제스는 최고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권력 투쟁을 벌인 인물로, 자기 자신을 바로 중국을 운명적으로 잃어버린 자로 만들었다. 이 점이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최악이었다.
(615쪽)


장제스가 정권을 장악했던 시대의 모든 요소들이 21세기 초 중국에서 다시 상연되고 있다. 장제스의 시대는 많은 방면에서 ‘포스트(post) 마오쩌둥 중국’의 전조로 바라볼 수 있다. [중략] 이러한 맥락에서 장제스와 그의 시대는 공산당이 승리한 후의 악몽에 비하면 그 이하이고, 사명을 최후까지 이룩할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통치자와 체제 탓에 기회들을 잃어버린 시기라고 하기엔 그 이상이다.
(6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