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비 Young Author Series 2
크리스 클리브 지음, 오수원 옮김 / 에이지21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작고 여린 날개로 끊임없이 바삐 비상하는 꿀벌, 리틀비

노란 꿀벌의 색을 닮은 작은 책 한권을 잡고 얼마나 많은 생각들이 오가는지, 깊고도 막막한  그 속에서 생각은 헛돌기만 했다.

책에서는 난민이 된 나이지리아 소녀 리틀비와 영국의 부족함이라곤 없을 것 같은 잡지사 편집장 새라의 운명적인 만남과 비극 그리고 이해를 담고 있다.

슬프도록 처연하고 가슴 먹먹한 삶을 절제된 감정으로 이야기하는 리틀비와 그런 리틀비가 운명 속으로 들어오면서 혼란을 통해 성찰과 반성 그리고 진정한 이해를 찾게되는 다소 격앙되고 감정적인 새라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나이지리아의 석유전쟁으로 가족의 죽음과 풍전등화 같기만 한 자신의 목숨을 위협받는 리틀비가 나이지리아 해변에서 새라와 엔드루의 비극적이고도 운명적인 만남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리틀비를 위해 그들의 요구에 따라 손가락을 자른 새라와 그렇지 못한 엔드루는 2년이 지나 난민수용소에서 극적으로 나오게 된 리틀비가 그들 앞에 나타나게 됨으로 다시 한번 혼란을 겪는다.

엔드류의 선택으로 리틀비의 언니는 잔인하게 목숨을 잃게 되었고 엔드류는 죄책감과 책임감, 두려움과 자기합리화를 오고 가며 괴로워하다가 결국 목을 매어 자살을 하고 만다. 엔드류의 장례식날 새라 앞에 나타난 리틀비와의 만남은 새라를 또다른 운명의 삶으로 이끈다.

 

새라와 엔드류는 리틀비라는 상처와의 대면을 통해서 서로를 이해하고자 노력했어야했다.

건드리지 않고 곪도록 오래 놔둔 상처는 사소한 실수로 스치기만 하여도 걷잡을 수 없이 터져버리고 만다. 그들은 서로의 상처를 잊은듯, 모르는 듯, 아닌 듯, 알고싶지 않은 듯 제쳐두었기에 엔드류는 자살을 선택하고 다시 운명의 연결고리는 새라를 혼란속으로 내던져지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담담한 어조로 이야기하는 리틀비의 이야기가 웃음으로 슬픔을 이야기하는 희극 배우의 얼굴을 하고 있는 듯 해서 읽는 내내 웃음 짓는 눈에 눈물이 고인다.

나이지리아에서 탈출하는 리틀비, 난민 수용소에서의 리틀비, 엔드류를 찾아나서는 리틀비의 힘없고 두렵기만 했을 모습이 눈에 그려져서 나이지리아 해변에서의 새라와 엔드류가 마주쳤던 리틀비를 새라와 엔드류와 나도 함께 만난듯 했다.

결국 리틀비를 읽으면서 큰 딜레마에 빠지고야 말았는데 새라와 엔드류가 처한 그 상황에서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질문이 끊임없이 내 속에서 메아리쳤다.

 

하루동안 만나는 주위의 사람들에게 리틀비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당신의 선택은 어떤 것인가 하고 질문을 해댔다. 더러는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한다고 힐난 하는 이도 있었고 더러는 나와 상관 없는 사람을 위해 희생을 치를 이유가 없다는 사람도 있었다.

또 어떤 이들은 질문하는 너는 어찌하겠느냐 되물어 와 질문하는 나를 주춤하게 만든이들도 있었다.

한결같이 대답이 쉽지 않은 것을 보며 그럴 수 밖에 없겠구나 하는 결론이 내려져 잠시 슬프고 잠시 분노했다.

희생을 강요할 수도 없고 희생하지 말라 선동할 수도 없는 이 우울한 질문이 그저 내 앞에는 그런 선택의 상황이 주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비겁한 마음들을 만들어내는지도 모르겠다.

엔드루의 자살후 삶으로 다시 들어온 리틀비에게 새라는 리틀비의 삶속으로 스스로 걸어들어간다.

새라앞에 펼쳐질 삶의 회오리가 몸으로 느껴져오지만 이미 나 스스로는 해변에서 리틀비를 구하지 못했기에 부끄러운 눈물이 마음을 가르고 흐르기만 한다.

2001년 영국으로 건너와 4년 동안 난민 보호소를 요청하다 예고 없이 이민국으로 송환되어 결국 계단에서 목을 매 자살하고 만 앙골라인의 실제 이야기가 모티브가 된 작품이라 리틀비를 만나는 것이 어쩌면 더욱 가슴 저리도록 실감이 나는지도 모르겠다.

 

삶과 생을 향해 스스로 작은 날개짓으로 날아오르는 리틀비의 이야기가 오래도록 내 안에 머물며 나를 힘겹게 할지라도 다만 부끄러운 눈물은 흘리고 싶지 않다는 두려운 소망을 소망할뿐.
 

흉터가 아름다운 이유는 죽어가는 자에게는 생기지 않는 것이 흉터이기 때문이다. 흉터의 의미는 생존이다.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