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공주
카밀라 레크베리 지음, 임소연 옮김 / 살림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세대 애거서 크리스티라 불리는 북유럽 스웨덴의 작가 카밀라 리베크리의 얼음공주는 출간되었을때 100만부라는 엄청난 판매수를 올렸다한다. 스웨덴의 인구가 900만이라니 그 인기가 가히 짐작이 가고도 남음이 있다.
미스 마플의 추리에 푹 빠져 지냈던 시기에는 숨막히는 두뇌싸움과 치밀한 이야기 전개의 추리 소설이 주는 매력에 빠져서 이야기를 읽으며 추리에 동참하는것이 퍽이나 재미나고 즐거운 일이었던 기억이 난다.

영미권이나 일본 작가들의 작품은 그래도 친밀한 편이긴 한데 북유럽 스웨덴 작가의 작품이 처음엔 다소 생소하게도 느껴졌다.

세계지도를 펼쳐두고 스웨덴을 찾아보았다. 얼음공주의 배경이 되는 스웨덴의 피엘바카는 어디쯤일까 한참을 찾아보았으나 대충 두루뭉술하게 인쇄된 지도에서는 찾을 수가 없어 조금 아쉽기도 했다.

 

스웨덴 피엘바카라는 작은 어촌마을에서 별장관리인 에일레르트가 별장에 들렀다가 젊고 아름다운 여주인인 알렉산드라의 죽음을 발견한다. 얼음이 채워진 욕조에서 손목을 그은채 자살한듯 보이는 알렉산드라. 부모님의 죽음으로 잠시 고향에 와 있던 에리카는 근처를 산책하다 옛친구인 알렉산드라의 죽은 현장을 목격하고 알렉산드라의 죽음과 사건에 대한 기사 작성을 부탁받고는 이 사건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차갑고 냉담하고 그러나 눈부시게 아름다운 알렉산드라 차가운 얼음공주 마냥 25년 동안의 삶을 헤집어 볼 수록 에리카는 점점 간단하지 않은 사건임을 느끼게 된다.

자살이 아닌 타살로 판명되면서 에리카는 알렉산드라 주변의 인물들과 지난 25년 동안 알렉산드라를 둘러싼 비극의 중심으로 다가 설수록 추측과 추리는 예상을 빗겨가고 예상치 못한 인물들의 연관성에 그 치밀한 짜임에 읽는 내내 긴장감을 늦출수가 없었다.

 

얼음공주의 살인사건과 살인범이 누구인가를 찾아가는 이야기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25년 전에 벌어진 사건과 그 사건을 침묵함으로써 알렉산드라를 비롯한 연관 인물들의 외적 상처와 내적 심리를 읽어내는 것이 퍽이나 흥미롭다.

이야기는 반전을 거듭하면서 기가막힌 속도감을 유감없이 발휘하는데 에리카와 사건을 조사하는 파트리크와의 로맨스도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등장인물들 중에 누가 사건과 관계되고 관계되지 않았나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25년 전에 벌어진 그 끔찍한 사건은 알렉스의 죽음으로 드러났지만 제대로 치유되지 못한 상처는 내적 트라우마로 남아 연관된 모든 인물들은 크고 작은 마음의 상처를 안고 살아왔던것이다.

레크베리는 사소한 부분을 차지하는 듯한 인물들의 심리나 묘사에도 탁월하다. 알렉스의 죽음을 맨 처음 발견한 에일레르트의 심리를 보여줌에도 그러했고 사건의 지휘를 맡은 실소가 터져나오는 경찰 반장의 묘사에도 그러했다.

에리카의 동생 안나의 이야기를 조금 더 들려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하지만 많은 인물들의 다양한 심리묘사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장을 넘길 수 있어 즐거웠다.

레크베리의 작품은 처음 접했고 약간은 생소함이 없지 않아 곳곳에 담겨 있는 스웨덴식 유머를 제대로 이해했는가 하는 아쉬움이 향기좋은 커피를 앞에둔것 처럼 잔향이 오래오래 남기도 한다.

눈이 내리고 차가운 공기의 아름다운 작은 어촌 마을 피엘바카- 마을 미스터리라는 말이 전혀 무색하지않는 것은 읽는 내내 피엘바카를 상상하는 즐거움이 더해졌기에 가능했을지도 모르겠다.

한편의 영화를 보는듯 이야기를 읽어내는 눈은 즐겁고 반전과 예측하지 못하는 사건은 흥미롭고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다.

이 작품으로 레크베리의 다른 작품들에도 궁금증이 자연스레 생기고 그녀의 다른 작품들 또한 이에 못지 않는 즐거움을 선사할 듯 하다.

사족을 달자면 여름보다 겨울에 읽으면 차가운 피엘바카의 풍경들을 상상하는 것이 더 즐겁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