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 실크로드 1200km 도보횡단기
김준희 글.사진 / 솔지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가끔 우리 국가대표 축구팀과 축구를 하는 나라, 옛 소련이 붕괴하면서 독립한 나라, 실크로드가 지나는 나라, 구잘 같은 예쁜 여자들이 사는 이슬람의 나라.

과연 우즈베키스탄에 대해 알고 있는게 얼마나 될까 손가락을 펴며 생각해보아도 더도 말고 딱 요만큼만 떠오르는것을 보니 내게 실크로드의 그 나라는 참 멀고도 먼 나라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지구촌의 나라들을 여행하는 여행가들의 발자국을 따라 그들의 눈과 귀와 피부로 느끼는 것을 전해주는 티비 프로그램에서 중앙아시아의 나라를 만난적이 있었다.  화면에 눈을 고정하고 우리와는 다른 환경에서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사는 그곳을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가끔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곳을 적어두는 너덜해진 수첩 귀퉁이 어딘가에 이슬람 사원이며 광장이며 마을 들을 적어두었었는데 펼쳐보니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 칸트라고 쓰여져 있다.

 

사실 사마르칸드는 내가 사는 이곳의 아주 오래된 여성복을 파는 가게 이름이다.

초등학교때 부터 있었으니 벌써 수십년이나 그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중인가보다.

자신을 위해선 수첩하나 사기를 망설이던 내 아버지는 어느날 길가에 버려져 있던 사마르칸트라고 쓰여져 있는 택을 한무더기나 주워 왔다. 아마도 가격을 붙이는 태그 였나본데 주워온 옷가게 가격표 사마르칸드는 아버지의 메모지로 수첩으로 오랫동안 흔하게 접하긴 했었다.

굳이 구차하게 이런 에피소드 까지 털어놓지 않아도 우즈베키스탄의 이질적이고 신비로운 풍광은 언제나 눈길을 사로 잡기에 충분하다.

 

우리의 여행자인 저자는 우즈베키스탄을 횡단하는 1200km 의 실크로드를  도보로 출발한다.

과거 육상 실크로드가 번성했을때 상인들이 낙타를 타고 통과 했을 사막, 수많은 상인들이 걸어서 지나다녔을 사막을 가로지르는 실크로드.

우리의 여행자는 용감하게도 도보를 선택했다. 그 땅속 깊은 곳엔 이미 옛 사람들의 발자국이 남겨져 있을 그 길을말이다.

사막을 경험해보지 못한 나같은 사람은 사막이 연상시키는 고독과 황량함, 두려움을 채 극복해 내지못할 것이다.

우리의 용감한 여행자는 사막을 지나며 우즈벡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음식을 먹고 마시며, 그들이 잠을 자는 그 땅위에서 잠을 잔다.

이방의 사람에게 친절한 우즈벡 사람들, 이미 우리의 여행자 보다 먼저 도착한 기업이나 드라마의 한류가 아니었더라도 그가 만난 우즈벡 사람들의 친절과 호의는 넘쳐났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비스듬히 눕듯이 해서 음식을 먹는 느긋한 사람들의 순박하고 여유로운 마음들이 전해져오기 때문이다.

1200km 의 감히 가늠하기도 힘든 그 거리를 도보로 완성하는 우리의 여행자는 칭기즈칸과 티무르가 제패한 실크로드의 나라를 온전히 도보로 완성해 낸다.

 

우즈벡의 엉망인 수도시설에 펑펑 쏟아지는 한국의 수도꼭지가 그리웠고, 김치찌개와 편한 잠자리가 그리웠을 우리의 여행자는

사막을 걷고 또 걸으며 그가 흘렸을 진한 땀방울에 그곳의 모래바람을 담아 전해준다.

결국에는 터져버린 그의 운동화는 우리의 여행자가 얼마나 성실히 걸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걸으며 만난 우즈벡 사람들과 마신 술에  어쩌면 같이 취하고 같이 잠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여행자가 물론  나같은 사람에 비할 평범한 사람이기야 하겠는가 만은 친숙하고 친근하게도 우리의 여행자는 그의 1200km실크로드 횡단기에 기꺼이 동행을 허락해주었다.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지나는 실크로드

어쩌면 죽기전에 가보아야 할 곳 이라고 쓴 제목 아래에 한군데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을것이다. 

그러나 책을 덮으며 마음 한 곳에 그곳을 담아두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