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로버트 J. 소여 지음, 김상훈 옮김, 이부록 그림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을 살아가는 것이 생일것이다.
시간에 제약을 받는 것 또한 시간을 살아가는 사람이기에 응당 그러할 수 밖에 없는건지도 모른다.

미래를 걱정하는 것, 더 나은 혹은 자신이 원하는 미래를 가지기 위해  과거를 후회하고 현재를 고민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어쩌면 시간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이 인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걱정 내지는 불안감에서 출발하지 않았을까.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를 가진 소설이나 영화, 만화영화 까지.

시간여행은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기에 더욱 흥미롭고 호기심을 자극한다. 현재를 살아낼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과거와 미래를 궁금해 한다.

과거로 시간여행을 해서 잘못 틀어진 일을 바로 잡거나, 미래로 시간여행을 해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혹은 4차원으로 시간여행을 해서 상상할 수 없는 세계를 경험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현재를 사는 사람들의 상상이나 소설에만 존재할 수밖에 없을까. 

 

주민등록까지 되어 있다는 만화 영화 속 둘리의 친구 빨간코 깐따비아? 별에서 온 도우너는 타임 코스모스라는 타임머신을 타고 지구별에 떨어졌다. 둘리와 친구들은 타임코스모스를 타고  차원을 넘나들며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자극하고, 영화 타임 머신을 보더라도 물리학자인 주인공이 연인이 죽자 연인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타임머신을 만들어 과거 또는 미래를 다니며 이야기가 펼쳐지는 영화였다.

현재, 꼭 이시점에서만 살아가는 나 같은 사람들이 시간여행이라는 상상을 뛰어넘는 무한의 세계에 흥분하는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멸종은 단지 시간 여행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이야기가 아니었다. 또, 단지 공룡의 멸종에 관한 이야기도 아니었다.

21세기 캐나다의  고생물학자가 햄버거 모양 처럼 생긴  타임머신인 스틴버그호를 타고 6500만년전 백악기- 공룡 멸종의 원인을 찾고자- 시간 여행을 떠난다.

두사람이 시간여행을 하는 점 부터가 SF 적이다.그런데 거기다 더해 고생물학자인 브랜디와 클릭스가 맞닥드린 6500만년 전의 지구와 거대한 공룡 그리고 화성생물체인 헤트와의 대면.

작가의 과학적 상상력과 창조는 과연 그 끝이나 한계가 있기나 한것일까.

시간여행과  공룡의 멸종 원인을 맞대여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점도 흥미진진하고 놀라울 뿐 아니라 공룡 멸종에 관한 브랜디와 클릭스의 서로 다른 견해는 과연 관심 바깥쪽에 있던 공룡멸종의 원인에 대한 생각을  좀 더 가깝께 끌어당겨 주었다.

[멸종]은 시간여행의 패러독스와 그  딜레마 역시 양자역학에 기반한 평형세계의 가설을 취하고있다.

다른 시간선에 존재하는 브랜디를 통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시간여행을 한 브랜디와 다른 시간선의 브랜디가 존재하며,  공룡의 멸종과는 다른 개인적인 이야기가 맞대여 있어 읽는 내내 작가의 치밀한 상상력과 사고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행동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결단이다.”

책속에 자주 등장하는 이 말은 SF 소설-멸종-이 단순한 오락적 재미에만 그치지 않고 브랜디의 행동과 결단에서 개인적인 자유의지에 대해서도 한번쯤 생각하게 만든다.

책속의 브랜디의 이야기와 6500만년전 백악기로 시간여행을 한 브랜디의 SF 적 이야기는 단지 SF 소설이 다소 황당한 재미만 추구한다라는 생각을 여지없이 날려버렸다.

[멸종]이 선사한 흥미와 즐거움은 이 책을  단지 SF 소설의 하나로  한정할 수 없을 것이다.

SF소설적 즐거움과 재미, 과학적 상상력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궁금한 독자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