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토끼를 잡으려면 귀를 잡고, 닭은 잡으려면 날개를 잡고

사춘기 아이들을 잡으려면 그 마음을 잡아줘야 한다.

 

어른이 되면 다 알게돼.!

나는 지금 그 어른의 즈음에 와 있을 것이다. 아마도.

당연한 수순인듯 학교에 입학하면서 부터 달라졌던 생활과 어른들이 정해놓은 틀 안에서 지내야 했던 어린 시절을 떠올려본다.

늘 몸이 약하고 자주 아팠음에도 어김없이 학교는 가야했던, 돌아보면 온통 아프고 짜증 스러웠던 기억만이 가득한 어린 시절이다.

아파도 학교에 가서 아파라.

물론 이 말이 완전히 틀렸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성실함과 그 안에 열정을 담은 말임을 이제는 알기 때문이다.

시골의 여느 부모들 처럼 나의 부모님도 농사꾼이라 자식들에게까지 신경을 써줄 여력은 없었고, 많은 것들을 그저 가슴에 쌓아두거나 혹은 쌓아뒀다가 잊어 버렸을 것이다.

1학년 1반 34번이 된 아이.

34번으로 불리는 아이는 어린 시절의 나이며 당신이고, 나의 아이들일 것이다.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왜, 에대한 답.

1학년 1반 34번이 되었고 같은 반의 아이들이나 선생님과 부모님들이 들어주지 않는 해답.

34번은 점점 더 안으로 안으로 파고들었는지도 모르겠다.

34번 처럼 아이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어른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금 어른과 아이의 경계에 선 34번에게 과연 무슨 말을 해주어야할까.

 

난 너를 이해해. 나도 그랬으니까. 너를 이해할 수 있어.

조금씩 성장해 가는 34번을 보는 마음에서 더이상 34번을 내려다 보는 어른이 아님을 느꼈다.

어른의 즈음이지만 34번 처럼 끊임없는 의문과 이해 받지 못한다는 외로움을 내 안에서 보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의 이야기와 마음에 진심으로 귀를 기울인다면, 아이에게 친구같은 어른이 될수 있다면, 앞으로의 우리의 아이들에게 더 좋은 어른이지 않을까.

 

1학년 1반 34번의 이야기는 소박하지만 결코 단순하지 않은 따뜻한 그림과 가슴에 새기는 이야기이다.

봄날 막 싹을 틔우는 어린 가지를 보는 마음으로 따스히 읽힌다.

많은 말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가슴속에서는 이미 1학년 1반 34번에게 눈높이를 맞추는 모습이 그려졌다.

에필로그의 마지막 한줄 말 처럼 아이를 마음으로 들여다 볼 줄 아는

 

나도 이제 진짜 '어른'이 되고 싶다.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