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원제가  조용한 폭탄이라한다.

조용한 폭탄, 소리없이 조용한 그 폭탄을 말함일까 조용함 자체가 폭탄이라는 말일까 고개가 갸웃 거려졌다.

조용한 일상이 사소한 것들로 폭탄이 되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수도 있고, 우리 주변에는 크고 작은 폭탄들이 잠복해 있다 는 옮긴이의 말을 가져와 본다.

소리없이 조용하게 나의 그 무엇이 폭탄이 되어 흔적없이 사라져 버린다.

실로 현실에서 조용한 폭탄을 만나게 된다면 나의 반응은 어떨까.

 

한적하고 조용한 공원에서 우연히 만나게된 쿄코와 슌페이.

소리를 듣지 못하는 고요함 속에 살아가는 쿄코와 방송국에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온갖 소리를 접하고 그 속에 살아가는 슌페이.

이들의 우연한 만남으로 시작된 그들의 이야기는 사소한 것일 수도 있다.

평범한 누구나들 처럼 우연찮게 만나고  서로 다르지만 상대에게 맞춰 이해해가며 만남을 이어가지 않는가. 이 사소한 일상들에서  귀가 들리지 않는 쿄코와 슌페이의 대화는 필담이다.

말로써 전해지는 소통과 말로써 이해 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진다는 점에서 필담으로 나누는 그들의 대화는 한계를 가지게된다.

슌페이 역시 필담의 한계와 조용한 세계의 쿄코에게서 소리로 가득찬 현실 속의 자신을 위로 하기도한다.

 

언뜻보면 쿄코와 슌페이의 필담으로 나누는 사랑과 다큐를 제작하는 슌페이의 대불 폭파사건은 전혀 연관을 찾기힘들수도 있겠다. 그러나 세계 문화 유산의 폭파라는 잔혹한 만행이 사랑의 소통과 언어의 소통, 들어주지 않는 세상에 듣지 않는 자들이 폭파라는 행태로 만들어진 결국은 소통의 불가를 전하는 것은 아닐까.

필담으로 나누는 대화의 한계는 말로 전해지는 그것보다 훨씬 축약적이며 동시에 많은 뜻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러기에 쿄코와 슌페이는 서로의 감정들을 밑바닥까지 알기엔 무리였을지도 모른다.

 

들리지 않는 쿄코이기에 필담이 아닌 말로써는 일방적일 수 밖에 없는 슌페이. 그들의 필담으로 나누는 대화와 소통은 대불 폭파 사건이라는 실제 사건의 소통의 부재와도 맞닿아있어  책장을 넘기는 손이 오래도록 졸지 않았다.

 

사랑과 사랑의 일방적이지 않은 커뮤니케이션.

삶에서는 사랑해 라고 말하는것과 사랑해 라고 나에게 말하는 것, 말하는 것이 들리지 않고 말할수 없을때가 있을 것이다.

슌페이와 쿄코는 두 사람의 사랑을 이야기 하고 있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