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친 막대기
김주영 지음, 강산 그림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흘러 흘러 뿌리 내린 똥친 막대기



  매일 아침 양지마을 앞에는  꼬리가 긴 기적소리를 울리며 지나가는 화물기차가 있다.

논에서 쟁기질 하던 소가 화물기차 기적 소리에 놀라 논을 뛰쳐나간다.  주인 박씨 아저씨는 달음질하는 소의 엉덩이를 칠 요량으로 백양나무의 어린가지를 꺾는다.

부지불식간에 어미나무로 부터 분리되는 고통을 당한  어린가지는 어미나무와의 이별과 아랫도리를 면도칼로 날려버린듯 한 고통에 두려움을 느낀다.

박씨 아저씨의 손에 들려 아저씨의 집에 오게 된 어린가지는 재희를 만나게 되고, 재희의 종아리를 치는 매가 되었다가 측간에 갇힌 똥친 막대기가 되고 만다.

어둡고 냄새나는 측간에 갇혀 스스로 있던 자리로 되돌아가고 싶어하는 어린가지.

 

' 나 또한 스스로의 능력으로 내가 있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행운을 안겨줄 날개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스스로 움직일수 없는 어린가지는 냄새나는 측간에 갇혀 괴로워한다.

 

  낙담하던 어린가지는 다시 재희의 손이 들려, 재희를 놀리는 동네 친구들을 혼내주기도 하고  봇도랑에 던져져 개구리를 잡는 낚시대가 되기도 한다. 그렇게 봇도랑에 던져진 신세가 되고 만 어린가지.

 

재희의 손에 들려 마을로 돌아가고픈 어린가지는 홍수진 봇도랑 물을 따라 돼지의 등을 타고 떠내려 가다 또다른 봇도랑 개흙 위에 마침내 우뚝서게 된다.

'내 몸위로 살랑살랑 바람이 불어왔습니다.

나는 비로소 살아야 한다는 꿈을 접은 적이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부지불식간에 어미나무와 이별하고 세상속에 떠밀리듯 던져진 어린가지는 회초리에서 똥친막대기가 되기도 하는 우여곡절을 거쳐 스스로 개흙 위에 뿌리를 내린다.

살아야한다는 꿈을 접은 적 없는 어린가지는 뿌리를 내려 물을 마시고 햇빛을 받아 잎을 피우며 조금씩 조금씩 푸르르게 자랄 것이다.

어미나무가 그랬던 것 처럼 그 그늘에 많은 것들을 안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양지마을 처럼 시골 마을인 내 고향 마을 산밭 구석진 자리에는  하늘 까지 뻗어있던 백양나무 한그루가 있었다. 얼마나 곧고도 시원스레 솟아 있었던지 예닐곱살 여자아이의 눈에는 마치 하늘을 간지르는듯 우습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손바닥 같은 잎을 달고 있었을 백양나무 어린가지의 모험은 마침내 스스로 뿌리내리며 우뚝 선다.

 

세상에 떠밀리듯 내 던져진 많은 이들이 백양나무의 어린가지 처럼, 많은 우여곡절을 거치고 외로움을 견뎌내고 꿈을 버리지 않는다면 비로소 우뚝 서 뿌리 내릴 곳에 서게 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보았다.

 

"외로움을 사르며 자라나는 나무는 튼튼합니다.

외로움을 갉아먹고 자라난 나무의 뿌리는 더욱 땅속 깊이 뻗어나갑니다. 혼자서 자란 나무의 그늘은 가지와 잎이 많아 더욱 시원하지요. 그런 나무의 밑동은 여러마리 소를 붙잡아 맨다 하여도 쓰러지지 않는 힘과 담력을 가집니다" p.164

 

여름의  비바람과 천둥을 견뎌내고, 겨울 칼바람에 도 잠들지 않고  홀로 뿌리 내린 외로움으로  밑동이 튼튼하고 잎이 무성한 백양나무로 자라게 될 것이다. 
어미나무가 그랬던것 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