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탄생 - 퇴계 이황부터 추사 김정희까지
김권섭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을 받아 보았을때 두꺼운 부피로 알지못한 많은 내용들을 내게 들려줄 것 같아 마음이 여간 기쁘지 않았다.

퇴계 부터 추사 김정희 까지 9인의 선비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그중 난설헌의 이야기에 깊은 기대와 궁금증을 안고 책을 펼쳐읽었다.

학문적 깊이와 인간적인 위대함 그리고 도산서원으로 기억되는 퇴계 이황, 가장 알지 못했던 남명 조식과 그 어머니 사임당과 더불어 잘 알려진 율곡 이이. 학창시절 국어시간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 등의 저자인 송강정철.

뛰어난 재주를 지녔으나 개인적으로 불우하고 젊은 나이에 가슴아픈 삶을 살다간 허 난설헌 허초희와 그 동생이자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

시조와 한시로 유명하나 일생의 많은 시기를 유배로 보낸 고산 윤선도,거중기 목민심서, 마과회통과 18년의 유배기간으로 기억되는 다산 정약용과 젲 유배지에서 아내에게 반찬투정(?)을 했다는 약간 웃음났던 추사체의 추사 김정희

이들 9인의 조선 선비들의 출생과 성장배경 그리고 가족들의 이야기 까지 비교적 자세하고 읽기 쉽게 보여주며, 그들의 벗들과 스승 제자 들에 이르기까지 그들 삶에 깊숙히 관여했을 인물들에 대한 설명과 일화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잘 알지 못했던 많은 것들을 이 책 한권으로 다 알지는 못하나 자주 자주 들춰보고 오래 오래 기억해두고 싶은 생각이 든다.

난설헌의 짧은 인생이어서 그랬을까. 제약이 많으 조선중기의 여인의 삶이어서 그랬을까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그녀의 작품들과 이야기들에 안타까운 마음이 크고, 다른 8인의 선비들에 비해 내용이 적은 것도 안타깝기 그지 없다.

퇴계 이황편에서는 다녀온 도산서원은 오래도록 기억이 되나 정작에 퇴계에 관해서는 아는것이 거의 없다 시피한 자신을 돌아볼 수 있었다.

선비와 그들을 사랑하고 후원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알수 있어 기쁘고 더불어 실린 그들의 작품들을 이책을 통해서 나마 접해 볼 수 있고 여러번 읽어볼 수 있게 되어 또한 기쁘다.

송강 정철편의 내용중 1551년에 왕자(훗날의 선조)를 낳은 명종이 라고 되어있는데 명종은 1567년 후사 없이 죽었고 선조는 방계로 부터 들어와 임금이 되었는데 착오가 있었던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