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나온 인문학 - 동서양 대표성인 8인의 마음수업
송태인 지음 / 미디어숲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세상 밖으로 나온 인문학 – 라리루


다양한 인문학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 과연 우리는 인문학에 대해 우리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이 때 인문학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아무리 정보와 내용이 좋다고 하더라도 사용하지 못하면 결국 사변적으로 남게 되면 사람들에게는 잊혀지게 된다는 것을 역사는 가르쳐준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문학을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접목해 볼 수 있는 지혜와 안목까지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배우게 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장자와 공자,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 어거스틴과 석가모니, 노자와 소크라테스 8명의 스승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 과연 인문학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떤 힘을 길러야 하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


먼저 저나는 고전을 공유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고전은 셀프카운슬링을 도와주는 것이라는 관점이 저자의 가르침이다. 즉 자가치유능력을 고전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고전에 대한 어렵다는 선입관을 가지고 있기에 선뜻 고전에 다가서지 못한다. 특별히 고전이 어렵다는 인식의 이유는 이전에 선생님들의 잘못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치 고전과 인문학이 상아탑의 경지에 다다른 사람만이 향유할 수 있는 것인 듯 일반인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무시하였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그런 독선을 비웃는다. 그리고 누구나 인터넷클릭 몇 번이면 뛰어난 선생님과 강사의 인문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러므로 고전은 인류가 낳은 생존 비법이므로 우리는 고전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어야 겠다.


이 책을 통해 8명의 스승들이 공통적으로 가르쳐주는 내용은 바로 ‘볼 수 있는 힘’이 얼마나 중요한가 이다. 우리는 눈이 있다고 시력이 있다고 전부 다 바르게 볼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님을 알아야 한다. 즉, 아는 만큼 보이게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문학적인 안목을 갖추고 시대를 보면 우리 시대에 바꾸고 고쳐야 할 것들이 보이게 된다.


또 한 가지 이 책은 우리의 내면의 빛과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한다. 그것은 인문학 전체에서 자주 언급하는 내면의 힘을 의미한다. 우리는 속 사람이 건강해야 우리의 행동에도 힘있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것은 어떤 이는 공부라고 가르치며 어떤 이는 명상 또는 수련이라고 얘기하며 어떤 이는 영혼이라고 설명한다. 즉 단어는 각각 다르고 물론 조금씩 그 내용이 다를지라도 공통적인 것은 바로 우리의 내면이 강해져서 시대를 이겨낼 수 있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삶 가운데 탐욕과 욕심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인문학의 정점에는 언제나 절제가 있다. 그것은 인문학이 때로는 출세와 입신양명을 이루어준다는 의미일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박학다식한 사람들 앞에서 위축되기 마련이다. 그것은 곧 힘이다. 인문학이 결국 힘을 제공해준다는 것을 우린 기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더 많이 가지려 하는 우리의 내면의 약함을 가르쳐준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마음을 잘 다스리고 언제나 본질을 잃지 않아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의 마음을 조절하고 시대에 탁월한 지혜를 통해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과 살만한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안목을 갖추게 된다. 주변 많은 사람들 특별히 청소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