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끝, 예수의 시작
카일 아이들먼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끝, 예수의 시작을 읽고... (Paul)

 

 

복음은 무엇일까? 기독교인들에게 복음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그 답은 천차만별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성경에서는 복음을 분명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다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복음의 중심이요 복음의 실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알아야 하며 그 삶을 배워야 한다.

 

 

왜 카일 아이들먼의 나의 끝, 예수의 시작을 서평하면서 복음의 중심이요 복음의 실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먼저 언급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이 책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삶을 분명하고도 확신있게 배우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역설의 진리 곧 십자가의 예수님을 우리 삶의 끝에서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자주 반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나의 끝은 곧 나의 십자가라는 성경의 표현을 이 시대의 언어, 더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언어로 재탄생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나의 끝이라는 이 단어를 묵상하면서 이 책의 감동이 더 잘 반복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 책은 한 가지의 주제를 여러 다양한 각도로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그 주제는 바로 내 삶의 끝을 경험하고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앞에 두 손 두 발 다 들며 주님 앞에 나아온 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책의 중심 주제는 매우 간단하지만 책의 내용은 우리의 육체의 욕심이 매일 매 순간 거부하는 진리를 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 모두는 나의 끝을 할 수 있는 한 가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8복의 예수님의 가르침 가운데 1번째, 2번째, 3번째, 6번째 이렇게 4가지 복에 대하여 설명해주고 있다. 각각의 복은 인간의 정욕과 반대되는 내용이 곧 복이라고 설명해주고 있다. 사실 영어 성경으로만 보아도 어떤 원인에 근거하여 복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복된 자는 이러한 모습이다는 것을 선포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복된 자는 심령이 가난한 자이고, 복된 자는 애통하는 자이고, 복된 자는 온유한자이고, 마지막으로 복된 자는 마음이 청결한 자라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인간의 소욕은 가난과 애통 그리고 온유와 마음의 순수함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이 세상이 그것을 복이라고 정의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가난과 눈물, 낮아짐과 순결함을 이 세상은 조롱한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삶이 괴로운 이유이다. 그래서 많은 기독교 설교자들도 세상의 불순물과 복음을 혼합한다. 그래서 교회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세상에서도 인정받지 못하는 어정정한 내용으로 사람들을 현혹시킨다. 그러나 더 이상하게도 그런 교회들을 사람들은 환영하며 몰려간다. 그래서 목회자들과 사역자들은 오늘도 참된 복음을 전하는 삶에서 고민하며 때로는 사역이 잘 되지 않아서 좌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다시 복음으로 그리고 십자가의 진리로 성도들을 인도해야 한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세상에서는 더 가지라고 성도들을 현혹시킬 때 우리는 세상에 있는 것들을 배설물로 여기고 그리스도의 은혜와 사랑으로 채워야 함을 강력하게 외쳐야 한다. 우리의 유일한 힘을 우리를 위해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우리의 힘이라는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해야 한다. 또한 우리의 힘이 날마다 약해져 갈 때 그 때가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참된 강함임을 주님 오실 때까지 가르쳐야 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2016년을 시작하면서 읽게 되어서 참 기뻤다. 이 책의 내용으로 무장 될 수 있어서 참 감사한 시간이 되었다. 참 오랜만에 십자가의 진리로 하나님의 복음으로 채움 받을 수 있게 되어서 주님께 감사하고 저자에게 고마움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 모두는 연약해서 잘못된 말씀으로 채움 받을 수도 있고 연약한 삶으로 인해서 알면서도 못할 때가 많다.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끝이 예수의 시작임을 늘 기억하며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 자가 되겠다는 다짐을 하며 책을 덮는다.

 

고난은 우리 영 안에 하나님의 평안과 임재의 복을 알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애통하는 가운데 우리는 하나님 임재의 복을 누릴 수 있다.”(p 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