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사학은 각각의 사안과 관련해 거기 내재된 거기 내재된 설득력 있는 요소를 찾아내는 능력이다.

책 17쪽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수사학의 정의가 쓰여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라고 한다면 고대 그리스의의 학자이자 서양의 철학사에 있어 길이남을 이름의 스승이라는 것을 누구나 떠올릴 것이다. 그는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철학사, 자연학 등 수많은 분야에 걸쳐서 폭넓게 활동하여 현재까지도 수많은 지식인들의 스승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그런 그가 써낸 대표적인 책 중 하나인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은 현재까지도 타인을 설득하고자 하자는 '논증'의 기본서로 알려져 있다고 이 책에서는 밝힌다. 이 책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자신의 변증학적 이론을 기초로 한 설득의 기술을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연설의 종류를 타인에게 무언가를 권유하거나 설득하는 연설, 법정에서 변론을 고발하거나 변호하는 연설, 선전을 통해 누군가를 찬양하거나 비난하는 연설 이렇게 세 가지로 설명하며 현실 정치에서 청중에게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하나하나 설명해주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의 책 페이지를 한 번 찍어보았다. <수사학>은 상대를 어떻게 설득시킬지, 연설에 관련된 내용이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을 짧막하게라도 들어본 분들은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라는 말을 한 번쯤은 직접적으로 들어보았으리라고 생각한다. 필자 역시 <수사학>을 읽기 전에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라는 말을 여러 매체에서 접하여 정확한 개념을 찾고자 직접 조사를 해본 경험이 있다. <수사학>은 책 맨 뒷 편 해설 내에서는에토스(청중과 연설가의 성격), 파토스(청중의 감정), 로고스(논리적 추론)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으나, 본편에서는 에토스, 파토스,로고스라는 정확한 단어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총 본래 세 권으로 되어 있는 수사학을 한 권의 분량으로 번역하여 엮은 현대 지성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세 가지 요소를 정확하고 깔끔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1권에서는 로고스적 내용을 바탕으로 한 논리적인 연설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으며, 2편에서는 분노, 평정심, 우의와 적의, 수치심 등을 통한 파토스적 내용을 바탕으로 한 청중들의 감정과 청년기, 노년기, 장년기와 같은 나이와 태생, 부, 권력 등 배경에 따른 청중들의 성격을 다룬 에토스적인 내용과, 논거의 합리성, 예증, 금언, 생략삼단논법 등을 통한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3편은 청중들에게 어떤 문체와 전달 방식을 통하여 자신의 논거를 이야기하여야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금언은 선언이다. 이피크라테스가 어떤 사람이냐 하는 것처럼 개별적인 선언이 아니라, 일번적인 선언이다. 그리고 직선은 곡선의 반대라고 말하는 것처럼 모든 일반적인 것에 관한 선언이 아니라, 인간의 행동 및 인간이 어떤 행동을 위해 선택하거나 피해야 하는 것에 관한 선언이다.

책 속의 금언에 관한 설명 중에서, 필자는 생략삼단논법과 금언에 관련된 설명을 가장 자세하게 읽었다. 생략삼단논법은 변증론적 삼단 논법의 대전제-소전제-결론 중 하나를 생략하여 청중들이 결론을 직접 도출해내는 효과롤 표출한다고 뒷편 해설에서는 나와 있다. 필자 역시 가장 주의 깊게 읽은 부분으로 앞으로 타인을 설득할 때 무척 도움이 될 듯한 부분이었다.



이 책 해설에 따르면 당시 수많은 소피스트들이 대중 연설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뽐내었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스트들은 사실 증명을 소흘히 하고 오로지 청중이나 배심원들의 파토스적인 부분만 건드려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나가려 한다며 비판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올바른 설득 기술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민주 정치를 긍정적으로 이끌고자 이 책을 펴내었다고 한다.


책 속의 문장 중 '설득하는 연설은 판단과 결정으로 이끌어야 한다.' 라는 말이 가장 인상에 남는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책은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기회를 자주 가지는 사람이라면 필독서로써 한 번쯤은 접해보아야하지 않을까 싶다. 오늘날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법에 관련하여 나오는 모든 책들의 기원은 전부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출판사에서 받은 책이기도 하지만, 평소에 필자가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었던 만큼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을 깊이 몰입하면서 읽었다. 그만한 가치가 있었던 책이라 자부하며 책 속 연설의 맺음말의 개념에 관한 문장을 제시하며 서평을 끝마치도록 하겠다.


맺음말은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청중이 우리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갖게 하고 상대방에게는 좋지 않은 감정을 갖게 하는 것, 우리에게 유리한 것은 확대시키고 불리한 것은 축소시키는 것, 청중의 감정을 우리가 의도한 상태로 만드는 것, 앞에서 우리가 말한 것을 환기시키는 것.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의 3권 내용인 맺음말에 대한 설명 중에서



이 글은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작성한 내용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