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합격 생기부 절대 원칙, 탐구력 - 2028 대입 합격 전략, 주제 탐구: 탐구력을 생기부에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법
팀유니온 지음 / 포르체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글 입니다

2028 대입 합격 전략, 주제 탐구
3월에 중딩 입학하는 일호님 모시고 있어요.
2025년 중1, 고1 는
2022개정 교육안으로 교과서도 다 바뀌고,
지금 고1 형님들이 대입하는 2028대입이 많은 변화가 있다는데...
수능이니, 생기부니, 내신이니
먼 이야기가 먼 이야기만은 아니 느낌!
알아봐야할 것 같더라고요.
《학교생활기록부》
나이스 학부모 서비스에 써 있는 그거잖아요!
✔️ 2028 대입 제도의 변화
과목도 변하고,
내신도 5등급제로 변하고,
평가방식도 변하고
미반영 요소도 늘어나서
2024 대입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 활동, 진로 활동, 동아리 활동)
🔸️교과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행동 특성및 종합 의견
영역이 남았어요.
추천서는 폐지되었지만,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 이나 세특의 학업 태도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되면서 추천서의 역할을 대신한다고해요. 또 자소서 폐지로 창체와 세특에 탐구 역량을 드러내는것이 중요해졌데요. 그래서 창체가 개별화되고 세특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데요.

《탐구력》이란?
주어진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호기심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말한다.
학교에서 찾는 인재는 정해진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탐구력을 갖춘 자이다.
학종전형에서 찾는 유형은 전공 분야나 진로 분야를 향한 호기심을 발전시켜 다양한 지식을 탐색하고 이를 조합하여 자신의 배경 지식으로 확장해 나가는 능력을 보는것이다.
‼️ p. 57 결국 중요한 것은 학생 개인의 역량이다.

📌 주제 탐구 활동
모둠 활동에서 시작해 개인 활동으로 연계되거나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과 활동 기반
✔️자기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
주제 탐구 활동을 하고 나서 배경 지식을 심화시키기 위한 후속 활동으로 독서를 해도 좋고, 독서를 먼저 하다가 어떤 키워드나 관심사를 향한 호기심을 기반으로 다시 주제 탐구 활동을 할 수도 있다.

‼️ p.231 독서는 주제 탐구의 시작이자 마무리인 셈이다.
✔️독서 활동에서 주제 탐구 활동으로 연계, 심화, 확장하기
✔️교과 활동에서 창체 활동으로 연계, 심화, 확장하기
눈에 보이는 예시로 딱딱 짚어주어서 어떤게 잘 쓴 기록인지 명확하게 보여요. 후반부로 갈 수록 예시와 방법을 자세하게 기록해두어서 참고하기 좋을것 같아요.

아... 3년동안 형님들이 이 책보고 다들 학교생활기록부를 경쟁력 있게 잘 디자인 하면... 또 바뀌는거 아닐까요? 😂😭😂😭 걱정을 미리 땡기지 말자!
#탐구력 #생기부 #2028대입 #고교 #고등 #주제탐구 #독서 #대입 #합격 #팀유니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