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고학년은 한 번뿐입니다 - 급변하는 초4∼초6,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나카네 가쓰아키 지음, 황미숙 옮김 / 물주는아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등고학년은한번뿐입니다

#나카네가쓰야키_지음

#황미숙_옮김

#물주는아이




  


남의편이 책 제목보더니,

뭐 초등 고학년만 한번뿐인가? 인생이 다 한번이지.

라고 콧방귀를 끼고 지나갑니다.

이런...

한번사는 인생인데, 초등 고학년인 왜 책으로 나와야 했을까요?


  

열살. 초등고학년의 시작은

아이의 말투가 변하고 생각이 변하고 행동이 변하기 시작합니다.

빠르면 벌써 사춘기가 오는 아이도 있고요.


일호가 3학년인데, 내년인면 4학년이에요.

지금이야 내새끼니까, 귀엽고 귀엽고 귀엽고 마냥 귀여워죽겠는데......


저자는 초등 고학년이 오는 시기에 아이가 자립된 세계관을 갖고 이 시기에 다양한 것들을 흡수하고 지적능력이 향상된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진정한 사춘기 <<중학교 들어가기 전에 아직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시기>> 라고 합니다.


 

차례만 쭈루룩 찍어봤어요.



1. 미래를 결정짓는 초등 4-6학년 생활

2. 가정학습으로 학력키우기

3. 열 살부터 시키고 싶은것 알려 주고 싶은 것

4. 친구 관계와 학교생활

5 자립을 향한 중학교 이후의 생활


이렇게 다섯가지가지로 크게 구분지었어요.


 


4학년은 친구관계에 문제가 많아지는 연령이라고해요. 또래들과 집단활동을 할 때여서 어려운 시기라고 해요. 공부든 운동이든 서열이 분명하게 드러나서 서로 무시하고 무시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해진다고 해요. 하지만, 한 때 과정이에요. 5학년이 되면 대게 진정된다고 해요. 4학년 글쓰기가 아이들이 자유롭게 마음껏 글을 쓸 수 있는 시기의 작문이라고 저자는 말했어요. 초등학교 4학년이 가장 초등학생다운 시기라네요!



5,6학년은 내면성이 발달하는 시기예요. 그래서 그 전에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부모는 보호자 라기보다는 상담자로써 아이와 대등하게 이야기 하는 관계를 만들어야 해요. 단, 훈육하는 부분에서는 그럴필요는 없다고해요.



학력을 지탱하는 힘 <- 입시로 인생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보다 얿은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1. 공부에 대한 긍정감

2.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 키우기

3. 독서 습관을 기르고, 독서 수준을 높이는 일

4.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는 일



 

<<모든 문제는 익숙해 지면 풀 수 있다.>>


국어 - 반복해서 읽으면 생각하는 힘이 자라요.


수학 - 아이가 수학을 싫어하게 되기전에 풀지 목한 문제를 가정에서 빨리 알려주어야 해요. 암산으로 끝내지 말고 실제 종이 위에 계산해보아야 해요. 일단 손을 움직이세요.


과학/사회 - 교과서를 읽으면서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밑줄 치도록 하세요. 자연친화적인 생활도 도움이 된다고해요.


독서 작문 - 어려운 글을 읽고 어려운 글을 쓰세요. 쓰기 전 단계에서 다른사람과 의견교환을 통해서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학습 능률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신박하게,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기르는데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소개시켜줍니다.


"아침 6시 까지는 원하는 만큼 게임을 해도 된다"


그랬더니, 아이가 아침 5시에 일어나서 게임을 했다네요. :)



아이도 잠깐의 휴식이 필요해요.



초등시기의 캠프나 합숙을 통해 공동 생활의 경험을 쌓으면, 또래 다른아이와 대립, 갈등 등 깊숙한 교류를 할 수 있어 사회관계/인간관계를 체험할 수 있어요.



규칙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그 밖에 것들은 잔소리 하지 않는 융동성을 발휘하세요.




친구와의 조화 - 자연스럽게 상대방에게 맞추는 마음


1. 과도한 자기자랑은 삼가하세요.

2. '하지만'이라고 금방 반론을 제기 하지 마세요

3. 기분나쁜 표정을 짓지 마세요.

-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글쓴이가 일본사람이다보니 이럴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반항기에도 훈육은 필요하다고 해요. 아이의 반항심을 웃도는 기력으로 아이를 대할 필요가 있다고 해요.



자신의 개성을 살린 일을 찾아내고 만들어 낼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 앞으로 인간이 사는 목표가 될거예요. 사람마다 정답이 다르므로 과거의 시대처럼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분명한 답이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아요. 용기를 내어 한발 내딛어 보세요. 그러면 기술도 노하우도 따라오게 되어있어요.




자녀에게 장래에 너희가 성장하고, 부모가 일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부모를 돌봐야 한다"고 말해두면 아이들은 책임감을 느끼고 진지하게 생각해서 마음 가는대로 놀고만 있지 않을거라고 해요.


- 신기하네요. 연금이라던지 노인복지라던지 그런게 우리보다 더 잘 되어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서구권 사고방식이 아닌이상 계속 해야 하나봐요.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교육 골든타임! <<초등 고학년은 한번 뿐입니다>>를 읽고 든든하게 준비하게 되어 감사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곧 닥칠 미래를 생각하며 진지하게 읽고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