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발명
정광 지음 / 김영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일가장)반한친중학자들의 공정사학 왜곡방식같다.
저자야말로 한글창제가 파스파문자에서 왔다니하는
고의적인 왜곡저의 주장,설보단

`중국문자는 고대 한국인이 만들었다.

`-(한자어원에관해)
`한자가 한글인 만가지 이유` 라는 책이
더 자연스럽고 진정성을 바탕으로한 신뢰성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의 발명
정광 지음 / 김영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이 세종대왕의 창제가 아니었다 신화라는 단어를 써놓고는
(마치 고조선이 신화라고 표현한 추악한 식민사학자들처럼)
이런자들 표현으로 말한다면 저자가 말하는 파스파 주장이야말로 설,신화다.
한글 전문 연구 반재원선생저서,대각자 고 인산김일훈선생님,한글이야기-홍윤표
참조가 더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명학 - 내 손으로 이름 짓기 살림지식총서 499
이태룡 지음 / 살림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종 성명학 이론이 있지만
음과 획 영향은 제외될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성명학 이론을 적용하더라도 이둘은
이름의 영향성을 증명하는 상식적으로 적용되는
이론이라고 봐야 한다고 보는데요.
왜냐면 누군가를 부르니 소리가 있고,
쓰니 획수모양이 생겨나는 것이죠.
물론 수화처럼 소리조차 내지않고 손모양 지적해 알린다면
수화가 지칭하는 것의 이미지로 영향을 받아들이고
아니면 모양을 써서 뜻을 지칭하는것을 알린다면
모양의 뜻과 획수의 영향을 받겠지만
기본적으로 소리를 내지않고 의사표시를 하지않는
동물은거의 없죠. 그 소리의 영향을 눈으로 볼수있는
가시화된 언어가 훈민정음 한글이겠고요.
만일 모든 성명학의 이론 거품을 빼더라도
원시적 행동의 성명 영향이라면
인간의 소리던 동물소리던 부르는것이 1차적인데
그래서 소리파동 음파적의 영향만큼은 가장 우선적으로
발생하게 되는것이라봅니다.
적어도 발성 성대가있고 귀가 있는
동물이라면 말이죠.
물론 지칭하는것을 부를때 어느나라 문자로 표현하던
획수와 모양이주는 영향은 다르겠지만
소리에 대한 시각화는 훈민정음 한글로 증명할 수
있다는건 같다고 봅니다.
대표적으로 성명학판단은 표음문자 음령과 상형문자자원의
오행과 글자의 획수 수리 적용이겠죠.
표음문자인 한글과 영어에는 소리로써 오행을 판별하니
음령오행에 해당되겠고,한자나 상형문자를 쓰는 언어들은
자원에서 오행을 뽑아야하겠고 말입니다.
세상은 글로벌 시대라 과거 한자식 성명학 판별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순한글이름이라던지 한자를 쓰지않는 영어권 및 다른 나라에
성명학을 적용 한다면 한자식 성명 영향에만 이름의 에너지
영향성을 두는 성명학은 적용될수는 없죠.
세계엔 각종문자가 있고
언어는 소리,글자모양,사회약속적 의미
세가지로 복합되는데
한자식 상형,불용문자,자원오행 등등
한자로만 투영하는 성명학은 그나름의 다른 효과성은 있어도
보편적용에선 상식적으로봐도 사실 맞지않는 전제가 되죠.이런 신성명학서,재해석이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도·낙서·천부삼인 - 하권 내일을 여는 지식 철학 34
김윤식.유한철 지음 / 한국학술정보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 인산 김일훈 선생님께선 주역도 천부경에서
나왔으며 선천8괘 하도가 우리 민족 동이 복희씨의
창제물이라 하셨다.
아무튼 저자께선 천지인 원방각이 각각
하도가 하늘 둥글원
하나라 낙서가 땅 네모 방
천부경이 사람 삼각뿔 각 나타내는 거라한다.
본인의 이해력상 잘은 모르며 다 읽어보진 않았지만
81자 문구의 천부경을 형태이해로 말하신 저자님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대각자 인산 김일훈 선생님의 말씀중에는
천부경을 이해하는데 윷놀이가 도움이 될거라고하셨다.
윷놀이의 둥근 외부테두리
작은윈들 열십자로 삼각으로나눠진 것들이
각각 천지인 원방각을 말하는 것일까.
역에 관해서는 깊이있게 탐독해본적이 없어
잘은 모르나 불현듯 그런 생각마저 들었다.
이 윷판과 결합된 역이 나왔으면 또한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훈민정음 - 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 서울대 인문 강의 시리즈 4
김주원 지음 / 민음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86769
http://cafe.daum.net/121315/BVCR/4163

한글날 특집- 위대한 문자,한글의 재발견
https://www.youtube.com/watch?v=FcQ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